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제55차 한미 SCM 공동성명+국방비전+공동기자회견(전문)

자료/한반도 자료

by gino's 2023. 11. 14. 14:32

본문

펜타곤 홈페이지

**한미 국방비전(231113)

Defense Vision of the U.S.-ROK Alliance

Nov. 13, 2023 |  Seoul
 

In 1953 the United States and Republic of Korea (ROK) signed the Mutual Defense Treaty pledging to promote peace, defend against external threats, and strengthen collective defense in the Pacific region. Seventy years later, the U.S.-ROK Alliance now stands as one of the world's premier alliances. Its presence is a staple for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the Indo-Pacific region and a stalwart protector of international norms. In recognition of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the Alliance must adopt a forward-looking posture that is responsive to its foundational and most pressing threat —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 while also contributing to the security of the region and the world.

The Alliance has successfully deterred conflict on the Korean Peninsula for 70 years. The United States continues to demonstrate its extended deterrence commitment starting with the 28,500 U.S. service personnel stationed in the ROK and appreciates ROK contributions to support the stable stationing of U.S. Forces Korea (USFK). Together, the Alliance stands ready to "fight tonight" alongside the United Nations Command, which stands firm in its pledge to demonstrate international solidarity in defense of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The weight of this commitment safeguards the safety and security of the American and Korean people from adversarial attempts to undermine peace in the region. 

Our Alliance is now broadening in scale and scope. Looking forward,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will continue to withstand the strains of broader geopolitical dynamics, protect democratic values, and uphold the rules-based order. Together, the Alliance will proactively seek out an agenda for cooperation to shape discussions and activities in the region and around the globe in line with our common values and goals. We will also maintain a shared commitment to the security and growing prosperity of countries in the region as we pursue our primary objectives of maintaining a stable and peaceful Korean Peninsula and advancing a free and open Indo-Pacific region.

In commemorating the 70th Anniversary of the U.S.-ROK Alliance, Secretary Austin and Minister Shin affirm this vision will address the Alliance's most pressing defense priorities and establish a shared security outlook ahead of its centennial in the decades to come. The Defense Vision seeks to build on the momentum of the 2023 Washington Declaration and Camp David Summit to outline a transformational way forward for the security and defense of the two countries. 

First, Secretary Austin and Minister Shin reaffirm the importance of deterring strategic attacks and aggression from hostile actors in the region, including the DPRK, through continued extended deterrence efforts. To this end, the United States commits to uphold its ironclad extended deterrence commitment as set out by the Washington Declaration. This includes close consultations by way of bilateral deterrence dialogues such as the Nuclear Consultative Group (NCG) and the Extended Deterrence Strategy and Consultation Group (EDSCG). The Alliance intends to work to enable joint execution and planning for ROK conventional support to U.S. nuclear operations in a contingency to enhance the integrity of deterrence capabilities against the DPRK. The revised Tailored Deterrence Strategy (TDS) should inform the Alliance's mutual approach to deterrence and provide a stronger and more flexible strategic framework to deter the DPRK. The Alliance also intends to increase the scale and scope of combined exercises and training, including combined joint live-fire exercises, to demonstrate combined defense capabilities and readiness. 

Second,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are determined to modernize capabilities to strengthen the combined defense architecture of the Alliance. This includes supporting ROK efforts to increase its defense capabilities for the systematic and stable transition of operational control (OPCON), thus strengthening the Alliance combined defense. Through existing bilateral dialogues, our two nations resolve to optimize defense industrial cooperation and supply chain resiliency to not only achieve interoperability and interchangeability of defense systems, but also bolster economic security in the region. The Alliance intends to continue to upgrade missile response capabilities by reinforcing the ROK 3K Defense, which enhances our combined abilities to effectively deter and respond to DPRK missile threats, and utilize consultative mechanisms such as the Counter Missile Working Group (CMWG) to maintain close bilateral consultations on missile defense. In addition to maintaining close space and cyber cooperation,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also seek to expand science and technology collaboration by leveraging the U.S. and ROK positions as high-end security partners to bring cutting-edge technologies to the warfighter. 

Finally, the United States supports the ROK vision to increase its contributions to the Indo-Pacific as a Global Pivotal State. As such, the Alliance seeks to play a more active role in contributing to regional security, including by bolstering defense cooperation with Southeast Asia and Pacific Island Countries to cultivate a well-networked region, which is critical to protect the values of freedom, peace, and prosperity.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intend to hold close consultations to reflect synergies in each nation's respective Indo-Pacific strategies and identify lines of effort through consultative bodies such as the Regional Cooperation Working Group (RCWG). Secretary Austin and Minister Shin als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creasing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with Japan as stated in the Camp David Principles, which will preserve stability and defend against threats in the region.

To more effectively advance these three strategic priorities, Secretary Austin and Minister Shin seek to restructure existing bilateral Alliance dialogue mechanisms to ensure that the Alliance is well-postured for the future.

Our vision is that of a peaceful Korean Peninsula and a free and open Indo-Pacific region in which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stand together at the forefront of tackling the most significant and consequential security challenges. Allies are a critical part of promoting democracy, maintaining a rules-based order, and mitigating threats posed by adversaries. Working in concert with and through our allies and partners based on the U.S.-ROK Alliance has a compounding effect.

By identifying our priorities and aligning our respective defense strategies, the U.S.-ROK Alliance commits to capitalize on synergies and operate across the region with greater bilateral and multilateral political-military alignment to realize this vision of a true global comprehensive strategic Alliance and a las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1953년 대한민국과 미합중국은 태평양 지역의 평화를 증진하고 외부 위협으로부터 방어하며 집단방위를 강화할 것을 약속하는 상호방위조약에 서명했다. 70년이 지난 지금 한미동맹은 세계 최고의 동맹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한미동맹은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필수 요소이자 국제 규범의 충실한 수호자이다. 동맹은 변화하는 안보환경을 감안하여 우리의 가장 근본적이고 시급한 위협인 북한에 대응하는 동시에 지역과 세계의 안보에 기여하는 미래지향적 태세를 갖추어야 한다.

한미동맹은 지난 70년 동안 한반도에서 분쟁을 성공적으로 억제해 왔다. 미국은 대한민국에 주둔하고 있는 28,500명의 미군을 시작으로 하여 확장억제 공약을 지속적으로 입증하고 있으며, 주한미군의 안정적인 주둔을 위한 대한민국의 기여를 높이 평가한다. 한미동맹은 한반도에서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기 위한 국제적 연대를 굳건하게 증명하는 유엔군사령부와 함께 상시전투태세 ( “Fight Tonight” ) 를 갖추어왔다. 이 약속의 중요성은 지역의 평화를 훼손하려는 적대적 시도로부터 한국과 미국 국민들의 안전과 안보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https://www.mnd.go.kr/user/newsInFileDown.action?siteId=mnd&newsSeq=I_13496&num=1

제55차 한미 안보협의회(SCM) 공동성명

https://www.mnd.go.kr/user/newsInFileDown.action?siteId=mnd&newsSeq=I_13495&num=1

『1. 제55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이하 SCM)가 2023년 11월 13일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회의는 신원식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과 로이드 오스틴(Lloyd J. Austin Ⅲ) 미합중국 국방부장관이 공동 주재하였으며, 양국의 국방 및 외교 분야 고위 관계관들이 참석하였다.  회의에 앞서 2023년 11월 12일 대한민국 합참의장 김승겸 대장과 미합중국 합참의장 찰스 브라운(Charles Q. Brown Jr.) 대장이 제48차 한미군사위원회회의 (MCM, Military Committee Meeting, 이하 MCM)를 주재하였다.

2. 양 장관은 한미동맹이 자유, 인권, 법치 등 공동의 가치에 기반한 한반도 및 세계의 평화, 안정, 번영의 핵심축임을 재확인하였다. 양측은 이러한 공동의 가치가 지난 70년간 동맹을 뒷받침해왔으며, 한미동맹이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이며 최상의 동맹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하였음을 평가하였다. 양 장관은 2023년 4월, 한미 양국 정상이 채택한 역사적인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공동성명'에 명시된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이라는 양국 공동의 비전을 재확인하면서, 동맹이 다방면에 걸쳐 협력을 증진하고, 역내 관여를 심화하며, 강력한 한미 양국의 관계를 확장함으로써 위협과 도전에 함께 대응해 나갈 것임을 강조하였다. (양 장관은 이번 한미동맹 70주년 계기 양국 국방부가 함께 기획하고 추진한) 연합합동화력격멸훈련, 연합상륙작전, 인천상륙작전 전승 기념행사 등 다양한 훈련과 행사들에 주목하였다. 양측은 이러한 훈련들이 한반도에서 연합방위태세와 동맹 공조의 진전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하였다. 양 장관은 한미동맹 70주년에 개최된 제55차 SCM을 기념하여 동맹 100주년을 준비하는 미래 청사진으로 '한미동맹 국방비전'을 승인하였다. 이번 비전 발표를 통해 양측은 북한에 대응한 확장억제 노력의 향상, 과학기술동맹으로의 진화를 통한 동맹능력의 현대화, 유사입장국과의 연대 및 지역안보협력 강화라는 향후 30년간 동맹협력의 3가지 핵심축을 제시하였다. 양측은 지금의 한미동맹이 그 어느때 보다 강력하다고 평가하고, 대한민국을 방어하기 위한 한미상호방위조약 및 워싱턴선언에서 명시된 바에 따라 연합방위태세에 대한 양국 상호 간의 굳건한 공약을 재확인하였다. 더불어, 양 장관은 북한의 침략에 대한 동맹의 억제 및 대응태세를 강화하고 한반도 및 역내 안정을 지속 증진시켜 나가기로 하였다. 또한, 양 장관은 SCM이 한미연합군에 전략적 지침을 제공함은 물론, 동맹 차원의 공약과 현안을 논의하고 확인하는 핵심적인 협의체로 한미동맹의 지속적인 발전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양측은 SCM을 중심으로 한미동맹을 보다 심도있는 글로벌 차원의 포괄적 전략관계로 지속 발전시켜 나가기로 하였다.

3. 양 장관은 최근 한반도 일대의 안보환경을 점검하고, 양국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신원식 장관은 북한이 최근 핵 투발수단을 다양화하고, 지난 9월 핵무력 정책을 헌법에 반영함으로써 핵포기 불가 및 핵능력 고도화를 공개적으로 재공언한 것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였다. 양측은 북한의 탄도미사일을 비롯한 다수의 미사일 시험발사, 북한 주장 '우주발사체' 발사 시도, 러·북 무기거래 등이 명백한 기존 유엔안보리 결의의 위반임을 확인하고 이를 강력히 규탄하였다. 또한, 양측은 북한의 이러한 행동이 국제사회에 대한 심대한 도전이며, 한반도는 물론 세계의 평화와 안정에 더욱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평가하고, 국제사회가 북한의 행위에 대해 상응하는 책임을 부과할 것을 촉구하였다. 오스틴 장관은 북한의 다양한 핵무기와 투발수단 개발 시도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면서 핵, 재래식, 미사일 방어 및 진전된 비핵능력 등을 포함한 모든 범주의 군사능력을 운용하여 대한민국에 확장억제를 제공한다는 미국의 굳건한 공약을 재확인하였다. 또한, 오스틴 장관은 2022년 핵태세검토보고서의 선언 정책에 따라 미국이나 동맹국 및 우방국들에 대한 북한의 어떠한 핵공격도 용납할 수 없으며, 이는 결국 김정은 정권의 종말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양 장관은 워싱턴선언에 따라 정보공유, 협의 증진, 공동기획 및 실행, 전략자산 전개 정례화 등 확장억제 분야에서의 협력이 증대되고 있음을 높이 평가하였다. 양측은 북한의 핵·WMD 사용 및 재래식 위협에 대비하여 연합방위체계를 강화하고 한측의 역할 확대를 가속화하기로 하였다. 양 장관은 한미통합국방협의체(KIDD, Korea-U.S. Integrated Defense Dialogue), 한미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 Extended Deterrence Strategy and Consultation Group), 한미핵협의그룹(NCG, Nuclear Consultative Group, 이하 NCG) 등 양자협의체들이 동맹의 연합억제태세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고 평가하였다. 양 장관은 이러한 협의체들을 통해 보다 강화된 확장억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하였다. 또한, 양측은 동맹의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한미 양국의 국방 협의체 및 활동을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통합하고 조정하기 위한 방안들을 지속 평가해 나가기로 하였다. 양 장관은 10년 만에 처음으로 개정된「2023 맞춤형억제전략」(2023 TDS, Tailored Deterrence Strategy, 이하 「2023 TDS) 을 승인하였다. 양 장관은「2023 TDS」가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WMD 및 전략적 영향을 가진 비핵능력에 효율적으로 억제 및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기틀로서 유연성을 갖춘 강력한 문서로 개정되었음을 평가하였다. 또한,「2023 TDS」에는 평시, 위기시 및 전시에 걸쳐 북한의 핵·WMD 공격에 대비하여 한국의 재래식 능력과 함께 미국의 핵능력을 포함한 모든 범주의 미국 군사능력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지침이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양측은「2023 TDS」가 양국 기획관계관들에게 방향성을 제공하는 문서로서 북한의 가능한 어떠한 핵사용 상황에도 대비하여 동맹의 태세와 능력을 더욱 강화시킬 것이라는데 동의하였다. 또한, 양 장관은 최초로 북한의 핵사용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지난 2월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확장억제수단운용연습(DSC TTX, Table Top Exercise) 의 성공적인 시행을 높이 평가하고, 향후에도 한미 정책, 정부, 군사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시뮬레이션 및 TTX를 정례적으로 개최하여 공동기획 및 공조절차를 지속해 나가기로 하였다. 양 장관은 '워싱턴선언'에 따라 새로 출범한 NCG의 성과를 평가하고, NCG가 확장억제를 강화하고, 핵 및 전략기획을 논의하며, 동맹과 핵 비확산체제에 대한 북한의 위협을 관리하는 양자 협의체로서 연합방위태세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양 장관은 NCG가 유사시 미국의 핵작전에 대한 한측의 재래식 지원을 위한 공동기획 및 실행 등의 과업을 추진함으로써) 북한의 핵사용에 대비한 한미동맹의 실효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해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 장관은 NCG를 통해 지속적으로 긴밀하게 공조하고, 향후 SCM에서 NCG의 진전상황을 주기적으로 보고받기로 하였다.

4. 양 장관은 고도화된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비하여 동맹의 탐지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국 조기경보위성 정보공유체계(SEWS, Shared Early Warning System)에 대한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또한, 양측은 한미 미사일대응정책협의체(CMWG, Counter-Missile Working Group)의 운영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동맹의 포괄적 미사일대응전략을 심화·발전시키기 위한 공동연구의 착수에 합의하였다. 나아가, 진화하는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 중인 한미 미사일방어공동연구협의체(PAWG, Program Analysis Working Group for the ROK-U.S. Missile Defense)의 운영성과를 평가하고, 이와 관련한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하였다.

5.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 양측은 동맹의 압도적 힘으로 북한의 핵 위협을 억제하는 동시에, 제재와 압박을 통해 핵개발을 단념시키고, 대화와 외교를 추구하는 노력을 위한 공조를 지속해 나가기로 하였다. 이러한 차원에서 오스틴 장관은 한국의「담대한 구상」과 통일 한반도에 대한 비전에 대해 지지를 표명하였고, 북한정권이 비핵화의 길로 나올 수 있도록 한미 양국의 공조 노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하였다. 양 장관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견인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한 모든 국제사회가 유엔안보리 결의를 철저히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양측은 북한이 불법적인 핵 및 탄도미사일 개발을 포기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가 북한의 무모한 행위를 적극적으로 차단하고 대응해야 한다고 촉구하였다. 양 장관은 이를 위해 북한의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 가상화폐 탈취, 해외노동력 송출, 해상환적 등에 대응하는데 있어 양국은 물론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양 장관은 정전협정이 한반도에서의 안정적 안보질서를 보장하는 국제규범으로서 여전히 유효하며, 정전협정이 유지되는 동안 6·25전쟁의 모든 당사자들이 이를 준수해야 한다는 데 공감하였다. 아울러, 신원식 장관은 북방한계선(NLL) 이 남북 간의 군사력을 분리하고, 군사적 긴장을 예방하는 효과적 수단이라는 한국의 입장을 전달하였다. 양 장관은 외교적 노력이 한반도의 평화를 보장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해법임에 공감하면서, 이를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임을 재확인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외교적 노력은 한미 국방당국의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연합방위태세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였다.

6. 양 장관은 주한미군이 지난 70년간 한반도에서 수행해 온 핵심적 역할에 대해 주목하고, 주한미군이 한반도에서의 무력충돌을 방지하고,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증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것임을 재확인하였다. 또한, 오스틴 장관은 인도-태평양 지역이 미국 국방부의 최우선 전구임을 언급하며, 대한민국을 방어하기 위한 주한미군의 현재 전력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는 미국의 공약을 재강조하였다. 오스틴 장관은 40여년 만에 이루어진 미국 전략핵잠수함의 방한, 2차례의 항모강습단 전개 등 올해 미국 전략자산의 전개빈도 증가와 정례화를 강조하였다. 또한, 이러한 전략자산의 전개는 대한민국 방위에 대한 미국의 공약을 보여주는 가시적인 증거로써, 한반도와 그 주변에 대한 미국 전략자산의 순환배치를 확대한다는 바이든 대통령의 공약에 따른 것임을 재확인하였다. 더불어, 양 장관은 한국에 대한 미국 전략자산의 정례적 가시성을 한층 증진시키고, 양국 군 간의 공조를 확대 및 심화시켜 나간다는 워싱턴선언에서의 공약을 양국 국방당국이 긴밀히 협력하여 수행해 나갈 것이라는 점을 재확인하였다. 

신원식 장관과 오스틴 장관은 1953년 정전협정 이행, 관리, 집행, 북한 공격 억제, 한반도 안보를 위한 다국적 기여 협조 등 유엔사의 역할을 재확인하고, 유엔사가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 안정을 가능하게 하는 국제연대의 모범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하였다. 양 장관은 유엔사가 70년 이상 이러한 목표에 성공적으로 기여해 왔으며, 대한민국의 주권을 완전히 존중하는 가운데 임무와 과업을 수행해 나갈 것임을 재확인하였다. 양측은 정전협정 체결 70주년을 맞은 올해 서울에서 사상 최초의 '한국·유엔사회원국 국방장관회의'가 개최되는 점을 높이 평가하였다. 아울러, 양 장관은 이번 회의 유엔사의 주둔국인 대한민국과 유엔사 회원국 간 앞으로의 협력과 연대를 강화해 나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표명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양 장관은 정전협정을 이행하는데 있어 유엔사를 지원하는 방안들을 강구하는 한편, 한반도 안보에 대한 유엔사의 기여를 확대하기 위해 대한민국과 유엔사 회원국들간 연합훈련 확대와 상호운용성 강화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하였다. 이를 위해 양측은 유엔헌장의 원칙과 결의에 기반하여 한미와 가치를 공유하는 유사입장국들의 유엔사 참여를 통해 유엔사 회원국의 확대를 모색해 나가기로 하였다.

7. 양 장관은 라캐머라 한미연합군사령관으로부터 한미군사위원회회의(MCM) 결과를 보고받고 이를 승인하였다. 양 장관은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북한의 위협에 대한 연합방위능력과 핵·WMD 억제 및 대응태세 강화,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전작권 전환, 관련 작전계획의 발전, 한미일 안보협력 확대 등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또한, 양측은 전략환경 변화에 따른 다양한 안보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데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하였다.

8. 양 장관은 2023년 '자유의 방패'(FS, Freedom Shield, 이하 FS) 연습과 '을지 자유의 방패'(UFS, Ulchi-Freedom Shield, 이하 UFS) 연습이 연합방위태세를 제고하는데 기여하였으며, 특히,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고도화 및 급격한 전시전환 가능성 반영 등 실전적 작전환경 조성 하에 시행된) 이번 2023년 UFS 연습이 동맹의 위기관리와 전면전 수행능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였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양측은 FS 및 UFS 연습과 연계하여 시행한 연합야외기동훈련을 통해 연합작전수행능력을 제고하였다고 평가하였다. 나아가,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 및 핵무력정책을 사회주의 헌법에 명시한 점 등을 고려하여 향후 한미 연합연습시 북한의 핵사용 상황을 포함하는 것에 대해 논의해 나가기로 하였다. 양 장관은 방어적이고 억제를 목적으로 한 훈련이 동맹의 준비태세 유지에 핵심요소임에 주목하면서 2024년에는 연합연습과 연계하여 연합야외기동훈련의 규모와 종목 확대를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양측은 한미동맹이 한반도에서의 역동적인 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전투준비태세와 연합방위태세에 지속적으로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평가하였다.

9. 양 장관은 주한미군의 안정적인 훈련여건 보장이 강력한 연합방위태세 유지에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오스틴 장관은 대한민국 국방부의 한미 양국 군의 훈련여건 개선을 위한 노력을 평가하고, 양국의 훈련을 위해 대한민국의 시설 및 공역을 공동사용하는 협조과정에서 대한민국 국방부와 주한미군 간 지금과 같은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지속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하였다.

10. 양 장관은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계획(COTP)」에 명시된 이행과업의 추진경과를 검토한 후 미래연합사로의 전작권 전환을 위한 향후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양국이 합의한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계획(COTP)」에 명시된 조건들이 모두 충족된 상태에서 전시 작전통제권을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을 재확인하였다. 양 장관은 공동연구를 통해 상호 합의한 평가방법과 기준에 의거, 조건#1과 #2의 능력 및 체계에 대한 한미 공동 연례평가를 완료한 것을 높이 평가하고 많은 분야에서 진전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양 장관은 조건#3과 관련하여 상호 합의한 평가방법과 요소를 토대로 첫 번째 역내 안보환경 평가결과를 도출한 것은 의미있는 성과라는 점에 공감하였다. 양 장관은 향후 보다 긴밀한 협조를 통해 역내 안보환경 평가를 발전시켜 나가기로 하였다. 또한, 양 장관은 2023년 FS와 UFS 연습기간 중 연합지상군구성군사령부 완전임무수행능력(FMC) 평가, 연합특수작전구성군사령부 완전운용능력(FOC) 평가를 실시하는 가시적인 성과가 있었음을 확인하고, 향후 연합지상군구성군사령부, 연합특수작전구성군사령부, 연합군사정보지원작전구성군사령부의 상설화 전환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경주하기로 하였다. 양 장관은 조건 #1과 #2의 능력 및 체계에 대한 공동평가 결과가 상호 합의된 수준을 달성하면 미래연합사 완전운용능력(FOC) 검증을 추진해 나갈 것을 재확인하였다. 아울러, 양측은 포괄적이고 상호 운용이 가능한 동맹능력의 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할 필요성에 공감하였다. 양측은 한미 공동의 조건 충족 노력을 통해 한미동맹과 연합방위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매년 MCM 및 SCM을 통해 전작권 전환 이행상황을 주기적으로 평가 및 점검해 나가기로 하였다.

11. 양 장관은 점증하는 위협에 대한 효과적인 연합대응을 보장하고, 동맹의 대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우주와 사이버 분야에서의 협력>을 지속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또한, 정보 및 우주 체계 등 핵심 기반체계의 보안성을 증진하기 위한 양국 국방당국의 노력을 확인하였다. 양 장관은 한미 국방우주협력회의(SCWG, Space Cooperation Working Group) 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우주상황인식 정보공유 확대 등 동맹의 우주협력을 한층 더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또한, 양측은 올해 9월 6년만에 개최된 한미 국방우주협력 TTX(Table Top Exercise)가 우주영역에서의 억제와 위협에 대한 공동의 이해를 제고하면서 양국의 우주협력 논의를 심화시키는데 기여하였음을 평가하였다. 올해 4월 한미 정상이「사이버안보 협력 프레임워크」체결을 계기로 동맹의 협력을 사이버 공간까지 확장하는 데 합의함에 따라, 양 장관은 사이버안보 위협에 대한 공동대응태세 강화를 위해 국방사이버 협력을 확대하기로 하였다. 양측은 2023년 5월 개최한 사이버정책실무협의회(CCWG, Cyber Cooperation Working Group)의 성과를 조명하고, 앞으로도 한미 최초의 양자 사이버훈련 개최, 미국 주관 연례 국제 사이버훈련(Cyber Flag) 참가 등 국방사이버 영역에서의 공조를 더욱 심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12. 양 장관은 동맹의 국방역량을 강화하고, 이러한 능력의 개발, 획득 및 운용에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협력을 구축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였다. 특히, 양측은 첨단기술과 국가안보 간의 연계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음을 인식하는 가운데, 국방연구개발, 산업협력, 무기체계획득 분야에서의 협력 확대를 통해 동맹의 상호운용성과 상호교환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데에 공감하였다. 양 장관은 체결을 앞둔 한미 공급안보약정(SOSA, Security of Supply Arrangement) 등 양국의 방위산업 기반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그간의 노력에 주목하였으며, 방위산업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해 국방상호조달협정(RDP-A, Reciprocal Defense Procurement - Agreement)의 체결을 위한 노력을 촉구하였다. 또한, 인도-태평양 지역 안보역량 강화를 위해 함정 등 무기체계와 관련한 추가적인 협력을 확대해 나갈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하였다. 양 장관은 우주, 양자, 사이버방어, 인공지능, 자율기술, 지향성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미 국방과학기술협력이 확대되고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또한, 양측은 차세대 무선통신 기술을 연합작전에 활용하기 위한 한미 국방부 간의 논의를 지속할 것을 약속하였다. 양 장관은 국방연구개발, 산업협력, 군사력의 건설과 획득, 군수, 기술보호 분야를 다루는 한미 회의체 간 교류활동을 지속하고, 상기 분야의 협력 효율성 및 적시성을 강화하기 위해 양자 회의체를 평가하고 발전시키겠다는 공약을 재확인하였다. 특히, 양측은 한미 국방부간 과학기술 분야의 정책·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고위급협의체 구축 논의가 시작된 것에 주목하고, 한미 양국의 공동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해 지속 협력하기로 하였다.

13. 양 장관은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 지역이 서로 연결되고 번영하며, 안전하고 회복력 있게 유지되는데 있어 한미동맹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데 공감하였다. 이를 위해 양 장관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는 지역 및 글로벌 안보상황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안보협력을 지속 증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양 장관은 대한민국의 '자유·평화·번영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이행하는데 있어 양국의 정책방향과 협력현황 등을 공유하고 구체적 협력방안을 함께 모색해 나가기로 하였다. 양 장관은 남중국해 및 여타 해양을 포함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평화와 안정, 합법적이고 방해받지 않는 상업 유지, 항행 및 상공 비행의 자유와 해양의 합법적 사용을 포함한 국제법을 존중한다는 약속을 재확인하였다. 또한, (양 장관은 2023년 4월 '한미동맹 70주년기념 공동성명'에 반영된) 대만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역내 국방 및 안보협력을 지속 증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또한, 양측은 아세안 중심성과 아세안 주도의 지역 구조에 대한 동맹의 지지를 재확인하였다. 특히, 양 장관은 각자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협력 시너지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데 주목하고, 올해 신설된 지역협력실무그룹(RCWG, Regional Cooperation Working Group)을 아세안 국가들과의 국방협력 강화 및 태평양도서국과의 해양안보 기여 협력을 위해 활용하기로 하였다. 양 장관은 민주주의, 인권 보호 및 법치의 증진 필요성에 공감하고, 대해적작전, 안정화 및 재건, 평화유지활동, 지역안보협력구상, 인도적 지원 및 재난구호 등의 다양한 노력들이 인태지역과 세계의 평화, 안정, 번영에 기여한다고 평가하였다.

14. 양 장관은 캠프 데이비드 한미일 정상회의가 한미일 안보협력의 새로운 장을 마련하였음에 공감하고, 3국 정상들이 합의한 국방분야 주요과제의 추진현황을 점검하였다. 양측은 북한 미사일 경보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기 위한 3국의 준비가 마무리된 것을 높이 평가하였다. 또한, 다년간의 3자훈련 계획의 사전수립 현황을 점검하였으며, 연내 훈련계획 수립을 완료하여 내년부터 훈련계획에 의거하여 한미일 훈련을 체계적으로 시행하기로 하였다. 아울러, 양 장관은 고위급 정책협의, 3자훈련, 정보공유, 국방교류협력 등 한미일 3자 안보협력을 지속적으로 증진 및 확대한다는 공약을 재확인하였다.

15. 양 장관은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이 지속되는 가운데, 역내 제재 감시 임무의 지속 필요성을 확인하고 역내에서 지속 시행되고 있는 대확산 활동에 대한 다국적 노력을 환영하였다. 오스틴 장관은 확산방지구상(PSI,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20주년 고위급회담 및 다국간 해양차단훈련 개최 등 글로벌 안보협력에 대한 대한민국의 기여에 사의를 표명하였고, 양 장관은 모든 관련 유엔안보리 결의의 유지와 완전한 이행의 중요성에 대해 동의하였다. 양 장관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Weapon of Mass Destruction, 이하 WMD) 위협에 대한 실질적 대응을 위해 정보공유를 확대하고, 사후관리 분야에서의 협력을 추진하는 등 동맹의 연합대응능력 강화에 기여한 한미 대량살상무기대응위원회의(CWMDC, Counter WMD Committee, 이하 CWMDC)의 지난 일년간 성과를 높이 평가하였다. 양 장관은 현존하는 북한의 제재회피 전술과 불법적인 사이버 활동에 대처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한다는 공약을 재확인하고, 북한의 WMD 위협 대응을 위한 추가적인 방안을 모색하기로 하였다. 또한, 양 장관은 동맹의 WMD 대응역량을 증진시켜 온 CWMDC 및 미국 국방부 협력적위협감소(CTR, Cooperative Threats Reduction) 프로그램을 통해 앞으로도 WMD 대응역량 증진을 위한 협력을 지속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16. 양 장관은 주한미군기지 이전 및 반환의 신속한 추진이 국토의 균형발전 및 주한미군의 주둔여건 보장이라는 양국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것을 재확인하고, 한미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Status of Forces Agreement, 이하 SOFA) 및 관련 협의에 따른 적시적인 기지 반환을 위한 제반사항에 대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양 장관은 용산 국가공원의 완전한 조성을 위한 용산기지 반환의 조속한 추진과 여타 미군기지의 반환에 대해서도 향후 상호 수용가능한 결과 도출을 위해 SOFA 채널에 따른 정례 협의를 통해 관련 사항을 논의해 나가겠다는 공동의 의지를 재확인하였다.

17. 한편, 오스틴 장관은 대한민국이 주한미군의 안정적인 주둔여건을 보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사의를 표명하였다. 아울러, 양 장관은 방위비분담 특별협정(SMA, Special Measures Agreement)이 한미 연합방위태세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18. 신원식 장관과 오스틴 장관은 금번 SCM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양국의 예우와 환대 그리고 훌륭한 준비에 대해 사의를 표하였다. 양 장관은 제55차 SCM과 제48차 MCM에서의 논의가 한미동맹을 실질적으로 강화하고, 양국 국방관계의 발전에 기여하였다고 확인하였다. 양측은 제56차 SCM과 제49차 MCM을 2024년 상호 편리한 시기에 워싱턴 D.C.에서 개최하기로 하였다.』

한미 국방장관 공동기자회견

Secretary of Defense Lloyd J. Austin III Joint Press Conference with Republic of Korea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Shin Won-Sik Following the U.S.-ROK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in Seoul, South Korea

Nov. 13, 2023Lloyd J. Austin, Secretary of Defense; Shin Won-sik, South Korean Defense Minister  
 

STAFF: We will now begin the joint press briefing of the 55th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First, Mr. Shin with his opening remarks.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SHIN WON-SIK (THROUGH TRANSLATOR): Good afternoon. This is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Shin Won-sik.

We are in the face of a grave international security situation today. While the North Korean nuclear missile threats are advanced by the day, the armed conflict between Israel and Hamas is intensifying and the war in Ukraine is prolonging.

Amid such circumstances, the fact that Secretary Austin and I are closely cooperating for three days through(inaudible) defense ministerial meeting with Japan yesterday, the 55th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today and (inaudible) defense ministerial meeting tomorrow clearly displays to the world that the ROK-U.S. alliance that's celebrating its 78th anniversary this year(?) is mak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leaps forward for peace and stability and prosperity of not only the Korean Peninsula, but the world.

During the 55th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which is the core of the three-day course of our schedules, Secretary Austin and I affirm the robustness of the ROK-U.S. alliance and the strength of the combined defense posture. At the same time, we also materialized agreements of the defense sector, developed the alliance into a global comprehensive strategic alliance.

North Korea continues to advance its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y. It's making blatant threats of nuclear usage by stipulating offensive nuclear force policy in its constitution.

Secretary Austin and I reaffirm the steadfast commitment of both countries to the powerful ROK-U.S. combined defense posture to deter and respond to such threats by North Korea.

As part of the commitment,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onducted the largest-scale Combined Joint Live-Fire (inaudible) training in history this year, and will expand the scale and level of combined exercises and field training exercises, thereby establishing a formidable, combined defense posture that can punish North Korea immediately, powerfully and until the end, when it provokes.

Additionally, Secretary Austin reiterated current U.S. commitment to the provision of extended deterrence to the Republic of Korea, utilizing a full range of U.S. defense capabilities. Along with the observation of ICBM test launch on Vandenberg Space Force Base by the alliance officials, the increase in frequency and intensity of U.S. strategic asset deployment, (including the first visit of a U.S. ballistic missile submarine to Korea in 40 years and )the first-ever landing of B-52H strategic bombers in the Korean Peninsula demonstrated the U.S. commitment to the defense of ROK, as well as its will and capability to implement the commitment.

The ROK-U.S. alliance now, (based on the Washington regulation announced by the presidents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ill jointly plan and execute the ROK's conventional support to the U.S. nuclear operations. The extended deterrence will evolve into one that is executed together by the ROK and the U.S.

Secretary Austin and I noted that we can never accept any nuclear attack by North Korea, and if it does use nuclear weapons, North Korea will face immediate, overwhelming and decisive response from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hich will lead to the end of the Kim regime.

Secretary Austin and I share the sentiment that the ROK-U.S. alliance is playing a pivotal role for the free, open and prosperous Indo-Pacific, and that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ill generate the effects of synergy by closely cooperating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ir respective Indo-Pacific strategies.

In particular, we concur on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b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among the Republic of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the Indo-Pacific region, and pledge to firmly continue the momentum of security cooperation created by the agreements made at Camp David in August.

(As discussed in the trilateral defense ministerial meeting with Japan this week), Secretary Austin and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eepening the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by operationalizing the ROK-U.S.-Japan real-time missile warning data sharing system to jointly respond to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threats and conducting systematic exercises by establishing multi-year trilateral exercise planning.

Secretary Austin and I assess that the United Nations Command has successfully fulfilled its role of implementing, managing, and executing the Armistice Agreement, to deterring North Korean aggression and coordinating multilateral contribution for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Secretary Austin and I will participate together in the first-ever ROK-U.S.-UNC members-based defense ministerial meeting hosted in Seoul tomorrow. We will seek for options to expand combined exercises among the Republic of Korea and UNC member states and strengthen interoperability in order to enlarge the USC contribution to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We will also exchange our opinions of expanding the scope of UNC by promoting the inclusion of like-minded countrie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the United Nations Command based on the principles and resolve of the U.N. Charter.

During the meeting, Secretary Austin and I endorsed the defense vision of the ROK-U.S. alliance, a blueprint preparing the future 100 years of the alliance beyond the past 70 years. The defense vision of the ROK-U.S. alliance is a blueprint for the realization of the will the two countries' presidents that the alliance, as a global comprehensive strategic alliance, will stride forward to the future further expanding its depth and scope.

Going forward,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ill evolve into an out -- an alliance of size and technology (based on the defense mission) by applying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areas of space, quantum, cybersecurity and A.I. to the defense sector, security supply chain resilience and pursuing interoperability, as well as (inaudible).

For the past 70 years, the ROK-U.S. alliance has developed into the lynchpin of peace, stability and prosperity of not only the Korean Peninsula, but the world, and one of the strongest alliance in history.

Secretary Austin and I are certain that the 55th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has reaffirmed the ironclad ROK-U.S. alliance as well as the strong combined defense posture and served as a cornerstone in which the alliance can develop into the global comprehensive strategic alliance. I promise the people of both countries by going forward as well, I will closely cooperate with Secretary Austin so that the alliance can deter and respond to North Korean threats based on the robust combined defense posture and become the lynchpin of peace and stability for the world beyond the Korean Peninsula. Thank you.

STAFF (THROUGH TRANSLATOR): Now, Secretary Austin with his opening remarks.

SECRETARY OF DEFENSE LLOYD J. AUSTIN III: Well, good afternoon, everyone. Let me again thank Minister Shin for hosting the 55th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It's always great to be back in Seoul, and I'm especially honored to be here during the 70th anniversary of our alliance.

For seven decades, this alliance has been an anchor of peace and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cross the broader Indo-Pacific. We're about to conclude an historic year for the United States and for the Republic of Korea, and I'm proud to say that our alliance is stronger than ever. And our deterrence commitment to the ROK remains ironclad. That includes the full range of our nuclear, conventional and missile defense capabilities. 

And today, during the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Minister Shin and I discussed shared opportunities to strengthen the alliance ever further. We discussed continued destabilizing actions by the DPRK that threaten our regional security environment, as well as PRC and Russian activities that undermine the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Minister Shin and I also had the opportunity to review the strong progress that we've made in advancing the ambitious -- ambitious agenda that our presidents charted in April during the ROK State Visit to the United States.

We have deployed a number of strategic assets to the ROK, including a port visit in July to Pusan by a ballistic nuclear submarine. This was the first such port visit to the ROK in more than 40 years.

Last month, we also had a B-52 bomber land on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first time this century. Now, that's a milestone for our deterrence efforts. And through our regular combined exercises, we are continuing to strengthen our shared readiness in our ability to fight tonight if necessary.

And as you heard Minister Shin say earlier, we had a great trilateral teleconference yesterday with Japan's new minister of defense. And our three democracies will continue to work together to ensure stability and prosperity in the Indo-Pacific. Minister Shin, we're doing more than ever to strengthen our alliance. So thanks again for your outstanding hospitality and your leadership. And we'll be glad to take some questions.

STAFF: At this time, we'll receive questions from the media. Please raise your hand to be called for a question. And once you're called, please say your name and your association (inaudible).

Q: Secretary Austin, according to the joint statement you and Mr. Shin exchanged opinions about the 2018 inter-Korean Military Agreement, and I was wondering whether (inaudible) in Washington are on the same page over the issue. Do you think (inaudible) affect ROK-U.S. combined defense posture, and it should be reconsidered to better counter those planned provocations using similar tactics to Hamas's surprise attacks on Israel, or is it an effective mechanism that prevents potential clashes near the border?

Q: Question rererred to Minister Shin. The series FCM had included a discussion of revising the Tailored Deterrence Strategy with TDS, and also methods to improve the execution capability of the extended deterrence was also discussed. How are the discussions (that occurred something different) from other ones that happened in the past, and also given that the Republic of Korea is relying on -- on the U.S.'s nuclear capability to defend itself, does this cause any concerns regarding the security of the --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is this enough to deter nuclear threats caused by North Korea? And if there are, what are some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be taken?

SEC. AUSTIN: So the first part of your question, I believe, was in -- was regarding the CMA. We have an opportunity to exchange views on -- on this. And we agreed to stay in close consultation going forward.

MIN. SHIN (THROUGH TRANSLATOR): The question was regarding the revision of Tailored Deterrence Strategy and how it differs from the past? Tailored Deterrence Strategy was first established 10 years ago, and 10 -- the biggest difference would be that throughout the 10 years, North Korea has greatly advanced its nuclear capability, and the second difference would be that there were outcomes of the Washington Declaration which led to the launch -- launching of Nuclear Consultative Group, or NCG.

And therefore -- and therefore, by utilizing these agreements, we have now included the U.S. nuclear forces, (which were exempted in the past). Currently we have included these into the consultation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it's significant that that item is now in the range of discuss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past, Tailored Deterrence Strategy used to be an item based on our concepts. However, this year, we have made the improvements, and throughout the year, we have made the improvements so that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now at a stage where we can jointly plan and execute combined exercises as well.

Additionally, another question was on whether the Republic of Korea's security is currently developed to the point where it is -- where the efforts are sufficient, or if the efforts are sufficient enough to protect the security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this, I'd like to say that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continuously developing the extended deterrence, and by doing so, we are sending a message to North Korea and other countries that could possibly assist North Korea, and that is -- North Korea's attempt to draw a wedge between the ROK-U.S. alliance is a fruit -- is a fruitless and useless effort.

And also, additionally, we are also sending a message that through -- excuse me -- and also it's very significant that we are developing the consultation at a strategic level as well. And therefore, that we are overall -- it causes a this brings about the positive effect to the security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also, we are improving (inaudible) into both -- on -- in all aspects, including policy at a strategic level and also operational aspect as well. Thereby, we are strengthening the deterrence that our -- our country has.

Q: Thank you very much. My name is Ryo Nakamura, Japan’s Nikkei Asia. Two questions. First, to the -- Secretary Austin, U.S., Japan, South Korea have made major progress on (inaudible) defense cooperation. Do you think it is time for the three countries to discuss operational, trilateral operational plan for contingency with North Korea?

And secondly, on China, the -- President Biden is going to meet with President Xi this week to -- to -- to restart the military-to-military talks. And you to (inaudible) to participate in an international conference. Are you planning to meet with the head of the Chinese delegation on the sideline? And do you believe renewed military-to-military talks could stop Chinese unsafe intercepts in the air and (inaudible)?

And to Mr. Minister, U.S. military is now (inaudible) two -- two conflicts in the Middle East and Ukraine and also focusing on handling the challenges presented by China. How concerned are you the U.S. could be -- is (inaudible) from handling the threat posed by North Korea moving ahead? Thank you very much.

SEC. AUSTIN: Thanks, Ryo. I lost track of how many questions that was but -- but it appeared to be more than two, so.

For the two questions that you asked of me though, the first one wa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K, Japan, and the U.S. and whether or not we should be doing combined planning going forward.

Ryo, I could tell you that I'm really proud of the progress that we have made in recent years in terms of the cooperation between our three countries. We see more trilateral cooperation than we -- than we have ever seen.

We certainly -- because -- well -- well, an outcome of the summit that was conducted in -- in Washington with our -- our three leaders -- agreed to share data -- and -- and we have made a -- a lot of progress towards that end. In -- in the coming weeks, you'll see us making some announcements here.

We -- you've seen us most recently conduct a combined air exercise, where all three countries flew together, and that's a -- that's really a -- a remarkable accomplishment. And we'll continue to build on that going forward.

The Minister of Defense and I both mentioned our trilateral defense ministers meeting that we just conducted, a very, very good meeting. It's things like that that will enable us to continue to build our relationships and work closer and closer together.

I have to commend the leadership of our three countries for the great example that faced that for other – for, for everyone to follow in terms of meeting and -- and agreeing to work together on pretty significant issues.

Your second question, I think, Ryo, was regarding our opportunity to have mil-to-mil engagements with the Chinese going forward. I don't have anything to announce today and I won't speculate on any outcomes of President Biden's meeting with President Xi, but you've heard me talk about how important this is before. I think, you know, for our countries, we -- we -- we have to make sure that senior military leaders and defense leaders are talking so that we don't allow a competitive relationship to turn and to develop into crisis, and that we can communicate on things that -- that are concerning whenever required. But these -- these talks these needs to -- need -- need to be substantiative. And -- and so we're looking to engage with -- with the PRC mil-to-mil at some point in the future. You've heard me say that a number of times, and -- and I'll continue to say that. I think it's really, really important to be able to -- to manage things and -- and -- and to be able to prevent crises from -- from spiraling out of control.

MIN. SHIN (THROUGH TRANSLATOR): And I would provide my answer, and I'd like to say that the Republic of Korea, although there are many conflicts occurring around the world,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lliance is the strongest alliance in history, and also in the world. And I'd also like to note that if North Korea provokes war, then that will lead to the end of the Kim regime, and also lead to the -- the prosperity that -- of the (inaudible) democracy of the Republic of Korea. I'd also like to add that the combined service members are maintaining the right (inaudible) posture so they are maintaining the defensive posture.

Q (THROUGH TRANSLATOR): So the question was directed to Minister Shi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this year is that ROK's defense industrial cooperation has been selected as one of the major agenda. And regarding this, I want to ask what type of conversations were held during the meeting, and also, how the two countries have reaffirmed efforts of both countries during the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regarding the signing of RDP, or reciprocal defense procurement. And I would like to ask when do you predict the signing timing is around, and when do you think it would be? And also, I would like to know what type of defense indus- -- and what -- I would like to ask what -- how this signing strengthens the defense industry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what type of advantage it will bring to the two countries, as well.

MIN. SHIN (THROUGH TRANSLATOR): During the meeting, Secretary Austin and I have agreed on signing(inaudible) supply arrangements and also RDP, and as we also agreed to carry our specific cooperations so that we can enhance defense industry cooperation between our two countries

We also agreed to set up a high-level consult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order to strengthen our cooperation in areas such as R&D. And as for the timing of our RDP signing, since we are moving to launch this since we have agreed to sign this agreement, we are going to continue to work together to create a roadmap going forward.

Q: I have questions for Secretary Austin. Regarding the incursion concepts and all the sustainability and steadfastness of the US commitment to (inaudible) deterrence. So first, is it realistic to maintain the current frequency of deployment of US strategic assets, especially on the ongoing (inaudible) in Ukraine and in the Middle East.

And similarly, there were public concerns in South Korea that US commitments to South Korea could be influenced by the outcome of a U.S. presidential election. So, what assurance can the U.S. provide that the current level of extended deterrence commitments, including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deployments, US Treasury assets, will continue regardless of U.S. election outcome?

And have any steps been taken to institutionalize the current implementation of extra (inaudible) to insure its long-term vigilance? to political changes in both countries? If not, do the allies have any plans to do so?

STAFF: (UNTRANSLATED)

SEC. AUSTIN: Thank you.

So, for the first part of your question, is it realistic to maintain the current tempo and turning those strategic assets to (inaudible) strategic assets to the region. The answer is yes.

United States has the most powerful military in the world. And having said that, I will also say that everywhere we are, everything that we do we work with allies and partners, that magnifies our strength. And we'll continue to stand with our allies and partners in the face of aggression, and we can walk and chew gum at the same time.

You know, in the Washington Declaration, our presidents agreed to increase the deployment of strategic assets to the region, and we've lived up to that. You've -- you've seen -- we've talked about already the -- the deployment of a ballistic missile submarine, a B-52. There's been a carrier battle group that's -- that's been -- that's visited the peninsula here in the not too distant past and there'll be another carrier battle group that comes soon. So yes, we will continue to do the things that we have promised to do.

I'd also say, in the past 12 months, we've transformed our posture in the region. And so we are more forward deployed and -- and more capable to respond to anything that could -- could -- could happen.

And in addition to that, we have the most strategy-driven budget in the department's history. Our budget is directly linked to our strategy. And as -- as you -- as you would hope that it would be but I can tell you that we have gone through great pains to make sure that that is in fact the case.

And so we're going to continue to make sure that this region has what it needs to do what we and our partners and allies want to do, and that is to maintain a free and open Indo-Pacific region.

And in terms of whether or not the -- the next administration will continue to do what we have done, I am absolutely certain that President Biden will continue to do what he's done to date.

STAFF: Final question from Bloomberg?

Q: Thanks very much. Peter from Bloomberg News. Two questions for Secretary Austin. First, Fox is reporting that six to seven Iranian proxy fighters were killed by a U.S. airstrike in eastern Syria. How concerned are you that Iran might use this as a pretext to escalate the war? And then second, what's your assessment for the current threat level of Hezbollah along Israel's northern border?

And then for Minister Shin, did the U.S. and South Korea's help in providing weapons or munitions to Ukraine during the meetings?

Thank you.

STAFF: Could -- could you repeat the first question possibly?

Q: Oh. Can I -- yes, can I take the -- yes, the first question was that Fox News is reporting that six to seven Iranian proxy fighters were killed by a U.S. airstrike in eastern Syria overnight. So how concerned is Secretary Austin that Iran might use this as a pretext to escalate the war?

STAFF: And the second question on Hezbollah?

Q: Yeah, the second question to Secretary Austin was what is your assessment of the current threat level from Hezbollah along Israel's northern border?

SEC. AUSTIN: Thanks, Peter. On the first question, in terms of the strikes, you know, we -- last night, our U.S. forces conducted precision strikes in eastern Syria against two facilities that are used by Iran's IRGC and affiliated groups.

I just want to remind you that these strikes are intended to disrupt and degrade the freedom of action and capabilities of these groups, which are directly responsible for attacks on U.S. forces in Iraq and Syria.

And Peter, as you know, we see a number of attacks against our forces here in -- in recent past. And we have said and we will continue to say that we will take all necessary measures to protect our troops. The safety of our troops and our civilians are of utmost importance to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and to me. And so we will do what's necessary to protect our troops.

I'd further say, Peter, that these attacks must stop, and if they don't stop, then we won't hesitate to do what's necessary, again, to -- to protect our troops.

Regarding the threat levels from Hezbollah in the north, what we've seen throughout this conflict, throughout this crisis is tit-for-tat exchanges between Lebanese Hezbollah and Israeli forces in the north. So your question as to whether or not they are a threat, they have been a threat and remain a threat, and it's a threat that is not taken lightly by the Israeli Defense Forces. And -- and so this is something that the Israelis, you know, I predict will remain focused on for the foreseeable future.

But again, in terms of the activity that we've seen up there, it's been tit-for-tat exchanges and hard to predict, you know, what -- what -- what will happen going forward, and certainly, no one wants to see another conflict break out in the north on -- on Israel's northern border there in earnest.

MIN. SHIN (THROUGH TRANSLATOR): And a separate answer to the second question, the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has provided support to Ukraine, including humanitarian aid, and the United States has expressed their gratitude to the Republic of Korea for such an aid provided. And going forward as well, the United States also asked for additional support from the Republic of Korea to Ukraine, and to which I responded that we will -- the Republic of Korea will provide to Ukraine continuously.

-----------------

한미 SCM 공동기자회견 질의응답
신원식 장관, 안보에 긍정적 영향 확신
북한 지원 가능한 주변국에까지 메시지
“확장 억제 실행력 제고 방향 보완할 것”
오스틴 장관, 한·미·일 긴밀한 관계 강조
“전략자산 한반도 전개 빈도 확대할 것”
방산협력 위한 고위급 협의체 가동 합의


- 9·19 군사합의에 대해 한국과 미국 양국에서 어떤 의견을 나눴나?
오스틴 장관=이 사안과 관련해서 한국과 미국 양국에서 의견을 나눴다. 앞으로도 이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지 긴밀하게 협의하기로 합의했다.
- 맞춤형억제전략(TDS)을 2013년도에 만들었다. 이번에 개정된 내용에서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신 장관=지난 10년간 북한의 핵 능력이 고도화됐다는 점이 첫 번째 차이점이다. 두 번째는 지난 4월 워싱턴 선언 결과에 의해 핵협의그룹(NCG)이 출범하는 등 그동안 논의 대상에서 상당히 제외돼 있던 미국의 핵전력이 한미 동맹의 협의 시설 또는 한미 연합방위의 테두리 안에 들어왔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기존 TDS는 개념적인 대응이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한미가 공동으로 기획하고 계획하고 연합훈련 등을 할 수 있는 수준까지 구체적인 지침으로 발전했다는 것이다.
- 이러한 노력이 우리나라 안보에 충분한가? 
신 장관=한미가 확장억제를 강화한다는 것은 북한과 또는 북한을 지원할 가능성이 있는 주변국에게 주는 메시지가 굉장히 크다고 생각한다. 북한에게는 북한이 핵을 고도화하는 것이 부질없음을 알려준다. 북한을 지원할 가능성이 있는 주변국에 대해서는 북한의 핵으로 인해서 그들의 전략적 이해 구조가 바뀌고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것이 한국 안보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보완할 점은 지금의 정책적 전략적 수준에서 이제는 작전적 수요까지 구체화됨으로써 미국의 확장 억제가 보다 실행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보완돼 나갈 것이라고 생각한다.
- 한국과 미국과 일본의 공조에서 지금까지 많은 진전이 이뤄졌다. 
오스틴 장관=한·미·일 3국의 긴밀한 관계에 대해서 굉장히 자랑스럽다. 그 어느 때보다 굉장히 긴밀해졌다고 말씀드린다. 이러한 점은 지난 8월 미국에서 있었던 한·미·일 정상회담의 결과라고 생각한다. 3국의 협력 방안에 대한 예로, 최근 한·미·일 최초로 연합 공중 훈련이 있었다. 이것도 굉장히 큰 성과라고 생각하고, 많은 발전이 있을 것이다. 앞으로도 더욱 더 관계를 증진하고 더 긴밀하게 발전해 나가 우리가 앞으로도 더욱 좋은 협력관계가 될 것이다.
- 이번 주에 있는 APEC회담에서 미국의 바이든 대통령과 중국의 시진핑 주석을 만나 공식적인 회담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중국과의 향후 협력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는가? 
오스틴 장관=지금 이 자리에서는 이렇게 하기로 했다라는 걸 발표할 내용이 없다. 미·중 관계는 어떻게 보면 경쟁적인 관계이기 때문에 이러한 관계가 위기에 치닫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필요할 때마다 양국이 만나서 얘기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본다.
- 미국이 우크라이나와 중동에서 여러 가지 갈등 상황에 있다. 미국이 만약에 북한에서의 어떤 위기 상황이 발발했을 때 어떻게 대처할 수 있나? 
신 장관=세계 여러 군데에서의 분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미동맹은 역사상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동맹이다. 또 한미 장병들은 언제든지 ‘파이트 투나잇’ 자세로 지금도 확고한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이 만일 도발하게 되면 양국 정상께서 확인한 대로 없어지는 것은 김정은 정권이 된다. 얻어지는 것은 대한민국 주도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의한 통일이 되는 것이다.

- 이번 SCM의 특징 중 하나로 한미 방산 협력이 주요 의제로 올랐다. 양국이 구체적으로 어떤 논의를 했는가? 
신 장관=첫 번째 공급 안보 협정, 일명 SOSA, 그리고 국방상호조달협정(RDP-A)이라는 협정을 체결해서 구체적으로 방산 협력에 대해서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또 그에 앞서서 국방과학기술 연구개발(R&D) 기타 이런 능력을 위해서 한미 국방부 간 고위급 협의체를 가동하기로 합의했다. RDP-A 시점은 이제 출발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시점부터 어떻게 해 나갈 것이냐 하는 로드맵 등은 앞으로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 우크라이나뿐만이 아니라 중동에서도 지속적으로 전쟁이 일어나고 있다. 미국의 한반도 방위 공약은 미국의 대선 결과에 따라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그런 위험도 있다. 
오스틴 장관=미국이 한반도에 전략자산 전개를 유지하는 것이 현실적이냐라는 질문을 해주신 것 같다. 답은 ‘예’이다.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강력한 전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 중요한 것은 미국이 어디에 전략자산을 정리하는지 무엇을 하는지 우리가 단독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에 있는 우리의 동맹과 파트너들과 협력해서 이런 일을 한다라는 것이다. 우리는 계속해서 국민들과의 협력을 통해서 공격이 발생하거나 갈등이 발생하면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다. 워싱턴 선언 내용을 보면 한반도에 대한 전략적 자산 전개 빈도를 훨씬 더 많이 늘리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그런 약속을 지키기 위한 우리의 노력의 하나로, 전략핵잠수함, B-52H 전략폭격기가 한반도에 전개됐다. 또 다른 항모가 곧 한반도에 올 예정이다. 인도태평양 지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필요한 게 있다면 언제든지 필요한 자산을 동원하고 동맹이 원하는 것을 할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 다음의 정부에서도 지속될지 의문이 있겠지만, 이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다.
- 이스라엘 관련, 헤즈볼라의 현재 위협 수준을 어떻게 보는가? 
오스틴 장관=계속 갈등과 위기가 존재하고 있다. 위험 수준은 계속해서 유지되고 있고, 이스라엘 국민 입장에서는 위협 상황이 굉장히 심각하게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위험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존재할 것이다. 한쪽에서 공격하면 다시 보복이 이뤄질 것이다.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는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다. 미국도 이러한 갈등이 향후에도 지속되는 것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우크라이나 지원 등에 대한 미국의 요청이 있었는지?
신 장관=대한민국 정부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지, 그리고 인도적 지원을 포함한 지원에 미국은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앞으로도 이러한 지지와 지원에 대한 당부의 이야기가 있었고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