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들레(Dentdelion)/정전 70년

한국전 정전기념일의 의미

by gino's 2009. 8. 10.

 

워싱턴 리포트

김진호 특파원



워싱턴에서 맞은 올해 7·27 한국전 정전기념일은 색다른 의미를 던졌다. 백악관을 비롯한 모든 연방정부 건물에 조기(弔旗)가 내걸림으로써 미국인들에게 ‘잊힌 전쟁’의 의미를 새롭게 되새기는 계기를 마련해서다. 워싱턴 웨스트 포토맥공원에 한국전 참전군인 기념시설이 들어선 지 14년 만이다. 반세기 전 듣도 보도 못한 동아시아의 한 나라에서 숨져간 미군 3만4246명의 넋을 기리는 또 다른 국가적 의지가 구현된 셈이다. 돈 없고 ‘빽’ 없는 사람들이 전장으로 내몰려 “빽 빽”하고 죽었던 전쟁을 치른 우리로서는 다른 세상의 일 같다는 생각마저 든다. “천황폐하 만세”를 외쳤던 인사들이 숭미주의자로 돌변해 부와 명예와 권력을 대물림하는 한국과 달리 미국은 국가에 공헌한 이들에게 감사하고 부와 명예에 더해 기념일까지 마련해주고 있어서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포고령에서 밝힌 7·27은 ‘한국전 참전군인의 정전기념일’이다. ‘한국전 정전기념일’의 명칭을 바꿨다. 미 행정부가 7·27을 계기로 한·미 동맹의 가치에 새삼 주목한다면 우리에게도 나쁜 일이 아니다. 하지만 7·27을 맞은 우리의 마음은 편치도, 명예스럽지도 않다.

우선 우리는 3만여명의 희생에 그치지 않았다. 군인과 민간인을 합해 한반도 전역에서 300여만명이 산화했다. 한반도 남쪽에만 피가 뿌려진 것도 아니다. 전쟁 당시 인구가 40만명 정도였다는 평양에 떨어진 폭탄이 40만개 정도라고 한다. 전쟁초기 북한군에 포로로 잡혔던 윌리엄 딘 미군 소장은 자신이 목격한 북한 지역 대부분의 도시와 마을이 “폐허이거나 눈덮인 황무지였다”고 증언한 바 있다. 우리에게 7·27이 참전군인의 기념일이 될 수 없는 이유다.



27일 열린 한국전쟁 정전협정 53주년 기념행사에 참석, 연설하는 딕 체니 미국 부통령 (출처: 경향DB)

미국의 군인존중 문화는 배울 만하지만 지나친 존중이 특히 남의 땅에서 빚는 부작용 역시 간과하기 힘든 문제다. 이라크에서,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의 오폭으로 죽어간 민간인들은 ‘부수적인 피해’일 뿐이다. 지난주 평양을 전격방문, 두 미국인 기자를 데려온 빌 클린턴이 대통령 재직 시 끝까지 국제형사법원(ICC) 설립을 거부한 이유 역시 해외 파견된 미군병사들이 위축될 것을 우려해서다.

한국사회 ‘이른바 우파’들의 모순 중 하나는 그들에겐 부수적 피해가 우리에게는 생살을 도려내는 아픔이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하물며 미국이 잠시라도 뒷배를 보아주지 못하면 붕괴되고 말 아프간 카르자이 정부조차 자국 민간인의 희생을 야기한 미군의 오폭에 대해 당당하게 비난한다. 한국 사회의 ‘이른바 우파’들에게는 한국전 당시나 지금이나 노근리 학살을 비롯한 미군의 실책에 대해 거론하는 게 금기다.

우리에게 지구상에서 가장 강한 나라와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가 우악스럽게 개입했던 한국 전쟁의 의미는 여전히 참담하다. 그때나 지금이나 역사의 수레바퀴는 강대국들이 굴린다. 올해 7·27 기념일에 워싱턴에서는 미·중 전략경제회담이 열렸다. 한국사회에는 미국이 조금만 관심을 보여줘도 그 내용과 의미를 들여다보지 않은 채 몸을 부르르 떨면서 흥분부터 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 것 같다. 우리는 우리대로 7·27의 의미를 새길 일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