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우크라이나, 핫라인의 강대국 정치

본문

미군 병사 한명도 없는 전쟁에 미·러 핫라인이 존재하는 까닭
우크라이나 입장과 상관없이 강대국 간에 의사소통하는 수단
한반도 유사시 미·중 군당국 핫라인도 본질적으로 같은 구조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와 임박한 핵실험 탓에 한반도 전쟁위기가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2017년 여름, 조지프 던퍼드 미군 합참의장이 중국 선양의 인민해방군 북방전구지휘부를 찾았다. 팡펑후이 인민해방군 총참모장의 초청을 받았다고 하지만 일선 사령부를 방문한 것은 이례적이었다. 던포드 장군은 중국군의 훈련을 참관하고 병사들과 함께 밥을 먹었다. 양국 군 최고 책임자 간에 오간 대화의 핵심은 '유사시 소통 강화'였다. 

 

마크 밀리 미 합참의장(왼쪽)과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총참모장이 2019년 12월 18일 모스크바에서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에도 두 장군은 전화통화로 대화창구를 열어놓고 있다. 타스연합뉴스
 

 

그즈음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과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은 월스트리트저널 공동기고문을 통해 미국은 북한의 정권교체나, 한반도의 급격한 통일을 추구하지 않으며, 유사시 미군이 비무장지대를 넘지 않을 것을 공개 천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화염과 분노' '북한의 완전한 파괴'와 북한이 '괌 포위사격' 경고가 오가면서 전운이 짙어진 곳은 한반도였고 가슴 졸여야 했던 당사자는 한반도 거주민이었다. 그런데 왜 미국과 중국이 멀리 선양에서 만나 소통을 강조할까. 군사당국 간 핫라인(hotline)의 새로운 의미를 생각케 한 계기였다. 

핫라인은 냉전시대 미국과 소련 간 우발적인 핵전쟁을 막기 위해 가설한 이후 위기관리 수단으로 활용되어왔다. 상대방의 행동에 대한 오해가 초래할 수 있는 재앙을 막기 위해서였다. 통상 자신들이 펼칠 훈련 또는 작전의 의도를 설명함으로써 상대방의 오인을 방지한다. '충돌방지라인'이라고도 불리는 연유이다. 핫라인은 대개 위기를 겪은 뒤 가설됐다. 1963년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미국·소련 간에 가설됐고, 1969년 국경분쟁 뒤 중·소 간에도 한동안 유지됐다. 남북관계에 따라 운영이 중단되기도 하지만 남북 간에도 여러 채널이 설치돼 있다.

 

10월 24일 마크 밀리 미 합참의장과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 총참모장 간 통화 사실을 공표한 미국 합참 홈페이지
.  

 

개전 9개월을 넘긴 우크라이나 전쟁도 예외가 아니다. 교전 당사자인 우크라이나군-러시아군 사이의 핫라인의 존재는 언론에 공개되지 않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이 전선의 러시아군 병사들의 탈영을 유도하기 위해 설치한 핫라인이 있지만, 충돌방지 기능과는 거리가 멀다. 반면에 미·러 간 핫라인은 개전 초부터 존재가 알려졌다. 

펜타곤은 지난 3월 초 독일 비스바덴의 유럽주둔 미군사령부와 러시아 국방관리센터(NDMC) 간 핫라인이 설치됐다고 밝힌 바 있다. 긴박한 전황 소식에 가려졌던 미·러 핫라인의 존재가 최근 새삼 부각됐다. 직접적인 계기는 11월 15일 우크라이나와 가까운 폴란드 국경마을에 미사일 한발이 떨어져 민간인 2명이 사망한 사건 때문이다. 

로이터통신은 지난 28일 후속보도로 미·러 간 핫라인이 개전 이후 한차례 가동됐었다는 소식을 타전했다. 러시아군 측이 먼저 전화를 걸어와 우크라이나 내 기간시설과 관련된 내용이었다고 미군 관계자가 전했다. 러시아군이 점령하고 있는 유럽 최대 자포리자 원전과 노바 카호우카 댐 등의 기간시설과 관련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러시아가 노바 카호우카 댐을 폭파할 경우 우크라이나군이 재탈환한 헤르손주가 물에 잠기게 되기에 '잠재적 대량살상무기'이다. 

 

미국 지미 카터 박물관에 전시된 수화기 소품 '레드폰'. 초기 미-소 간 핫라인은 다이얼이 없는 전화기였다.  위키페디아

 

단 한명의 자국 병사도 참전하지 않은 전쟁에 왜 미군당국이 나서며, 러시아는 또 왜 핫라인 개설에 동의했을까. 한반도 위기 국면에 미·중이 군사당국간 소통을 강조했듯이 미·러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연 군사 핫라인의 존재가 말해주는 함의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더 큰 범위 안에서 관리하려는 강대국 정치와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범위를 설정하는 힘은 모든 나라가 갖는 게 아니다. 핫라인은 서로 상대국의 힘을 인정하는 강대국 간에만 설치가 가능하다. 자포리자 원전 발 핵재앙은 물론, 러시아와 나토 간 무력충돌을 예방하고, 오인으로 인한 핵전쟁을 막기 위한 목적도 포함됐을 것이다. 무기와 자금을 미국이 제공하고, 우크라이나가 병력을 동원하는 합작 형태로 진행되는 전쟁의 양상이 어느 순간 미국의 결정으로 바뀔 경우 미·러 군사당국 간 의견조율의 수단이 될 수도 있다.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인근 보로디안카의 파괴된 아파트 앞에서 한 남자가 자전거를 끌고 가고 있다. 겨울이 다가오면서 에너지 난을 겪고 있는 민간인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2022.12.4 연합뉴스

 

분쟁 당사국에 막대한 결과를 초래할 사안에 대해 정작 당사국은 상관없이 강대국 간에 결정하는 매커니즘을 상징하는 장치가 바로 핫라인인 것이다. 냉혹한 현실 국제정치에서 그 불가피성을 인정하더라도, 당사국 입장에선 불편한 진실이 아닐 수 없다. 유사시 한반도의 운명이 엉뚱하게 인민해방군 사령부와 펜타곤 사이에서 논의되는 것과 마찬가지다. 

비스바덴에는 미군 사령부 만 있는 게 아니다. 개전 이후 '펜타곤 우크라이나 안보지원그룹(SAG-U)'도 주둔하고 있다. 미군은 자체 판단에 따라 우크라이나군에 대한 정보 제공 여부를 판단할게 분명하다.

비스바덴 미군사령부는 러시아 측과 하루 두 차례 전화선의 작동 여부를 점검한다. 가장 기본적이고 일상적인 소통창구다. 미·러는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과 세르게이 쇼이구 국방장관 간 대화창구는 물론, 마크 밀리 미 합참의장-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총참모장 간 대화창구를 유지하고 있다. 윌리엄 번스 중앙정보국(CIA) 국장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각각 창구를 갖고 있다. 

 

 

미·러 간 핫라인의 존재가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정부가 현실을 되돌아보는 계기로 작용한다면 전쟁은 의외의 해결 실마리를 찾을 수도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2014년 이후 잃은 돈바스 지방과 크림반도의 영토를 모두 회복하겠다는 원칙론을 굽히지 않고 있다.

펜타곤은 지난 10월 24일 밀리 합참의장과 게라시모프 총참모장 간 통화에서 상호 우려하는 안보 이슈를 논의했다고 '전례에 따라 구체적 논의내용은 공개하지 않는다'는 내용도 첨부했다. 한반도 거주민 입장에서 쉬 흘려버릴 수 없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단면이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