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허리를 끊어놓은 비무장 지대 남북에는 민간인이 거주하는 마을이 각각 한 곳씩 있다. 대성동 마을과 기정동 마을로 더 잘 알려진 남측 자유의 마을과 북측 평화의 마을이다. 분단 이전에는 모두 경기도 장단군에 속했던 마을들이다. 행정구역상 파주시에 편입된 대성동 마을에는 현재 51가구 214명의 주민이 주로 벼농사를 지으며 생계를 꾸리고 있다.
두 마을이 국민적 관심을 끌던 시절이 있었다. 1970년대 대성동 국민학교(초등학교) 옆에 48m 높이로 세운 태극기 게양대가 발단이 됐다. 얼마 뒤 기정동 마을에 더 높은 인공기 게양대가 설치됐다. 대성동 마을 게양대가 1982년 1월 99.8m로 높아지자 한 달 뒤 기정동에는 높이 165m의 게양대가 들어섰다. 경쟁의 끝이었다.
비무장 지대 안 대성동 마을(1990년대)/경기도 파주시
최전방 지근거리에서 근무하던 남북 병사들이 서로 큰 목소리로 “우리는 고깃국 먹었다. 너희는 오늘 아침 뭘 먹었냐”면서 자랑했던 냉전 시절의 이야기다. 높이 경쟁에서 명백한 패자는 남측이다. 그러나 기정동 마을보다 더 높은 게양대를 만들 수 없었기 때문에 포기한 것은 아니리라. 대성동 마을의 김동구 이장은 “‘이런 걸로 북한과 경쟁해서 무엇하나’ 하는 생각에 경쟁을 그만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남북 간 유치한 자존심 경쟁 결과로 두 개의 게양대는 지금도 2.5㎞의 직선거리를 두고 마주 서 있다.
가로 18m·세로 12m의 대성동 마을 태극기는 특수천으로 만들어져 개당 180만원의 제작비가 들어간다고 한다. 워낙 크다 보니 바람에 찢기거나 추레해져 한 해 평균 10개 안팎으로 교체해줘야 한다. 게양과 하강 등의 관리를 하는 데만 한 해 960만원의 인건비도 들어간다. 기정동 마을의 인공기도 제작·관리비가 만만치 않을 것이다. 남북 모두 쓸데없는 경쟁 끝에 지출하는 또 하나의 ‘분단비용’이다.
대성동 주민 (경향DB)
지난 12일로 예정됐던 남북당국회담이 수석대표(단장)의 격(格)을 둘러싼 기싸움 끝에 무산됐다. 지나간 시절의 해프닝 정도로 회자되던 대성동·기정동 국기게양대의 높이 경쟁을 연상시킨다. 또 얼마나 많은 분단비용을 치러야 할는지. 어쩌면 지난 31년간 성장을 멈췄던 대성동 마을의 국기게양대의 높이가 다시 꿈틀하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국민정서’와 ‘국제기준’에 맞추려면. 갑갑한 6·15공동선언 13주년의 아침이다.
"월드컵이 필요 없다"는 브라질 민심 (0) | 2018.07.03 |
---|---|
브라질 '월드컵 성장통' (0) | 2013.06.20 |
탁심 광장 (0) | 2013.06.05 |
한국인의 성깔 (0) | 2013.03.24 |
척 헤이글의 반유대주의 괘씸죄 (2) | 201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