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 DJ와 40년 교류 제임스 레이니 前주한 미대사
|
[경향신문]|2009-08-20|07면 |40판 |종합 |인터뷰 |1784자 |
제임스 레이니 전 주한 미 대사(81·에모리대 명예총장·사진)는 18일(현지시간) “김대중 전 대통령은 한국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의 횃불과 같은 존재였다”면서 “40년 지기인 그를 잃은 데 대해 비통함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미 군정 시절 육군 방첩대 일원으로 여운형·김구 선생의 암살사건을 수사했던 그는 김 전 대통령을 좌익이라고 매도하는 한국 내 보수인사들의 주장에 대해 “한마디로 웃기는 얘기”라며 일축했다. 햇볕정책 역시 조지 부시 전 미 대통령의 실책과 북한의 핵개발로 벽에 부딪혔을 뿐 당시로는 “한반도에 변화를 불러올 적절한 정책이었다”고 평가했다.
-햇볕정책의 과거와 현재에 대해 평가한다면. -햇볕정책이 대북 퍼주기였다는 주장도 있다. “비난은 할 수 있지만 사실관계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 1994년부터 부시가 취임했던 2001년까지 영변 핵시설은 동결됐고, 한국은 그동안 놀라운 경제적 진전을 이뤘다. 햇볕정책이 실패한 것은 조지 부시가 취임하면서 클린턴과 김대중의 정책을 거부하면서 비롯됐다.” -김 전 대통령의 가장 오랜 친구인 스티븐 솔라즈 전 하원 동아태소위원장 같은 사람은 북한 인권문제에 매달리고 있는데…. |
양국주 열섬사 대표 (0) | 2012.02.25 |
---|---|
DJ 서거-도널드 그레그 전 주한 미국 대사 (0) | 2012.02.25 |
스콧 스나이더 CFR 연구원 (0) | 2012.02.25 |
노근리 마이클 최 변호사 (6) | 2012.02.25 |
박선원 브루킹스 연구원 (0) | 2012.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