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7.26
궁지에 몰린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정부가 화학무기 사용을 경고하고 나섬에 따라 시리아 사태가 최악의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시리아 정부는 지난 23일 화학무기 보유 사실을 공식 인정하면서 ‘외부의 공격이 있을 경우’ 이를 사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권붕괴라는 극한상황에 몰릴 경우 군용기를 동원한 화학탄 투하를 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현 대통령의 아버지 하페즈 알 아사드는 1982년 중부 하마에서 소요가 발생하자 시안화수소탄을 동원해 주민 2만여명을 학살한 바 있다. 국제사회의 우려는 시리아 내부보다는 외부에 집중돼 있다. 정국이 통제불능 상태에 빠진다면 반이스라엘 투쟁을 벌이고 있는 시아파 헤즈볼라의 손에 화학무기가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은 벌써부터 공격 가능성을 흘리고 있다. 알 아사드 정권을 적극 비호해온 러시아까지 사용금지를 촉구하고 나선 것은 시리아 화학무기의 폭발성이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우리가 그동안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개입을 촉구한 것은 무엇보다 상시적으로 주민학살을 자행하는 알 아사드 정부의 축출 외에는 해법이 없다는 판단에서였다. 그러나 국제사회는 지난 16개월 동안 어떠한 합의도 도출하지 못한 채 오히려 사태악화를 방관 또는 조장하고 있다. 그 사이 민간인 피해는 1만명을 훌쩍 넘어섰다. 미국과 서방은 러시아와 중국의 반발로 유엔 안보리 결의안 채택이 두차례나 실패한 뒤 사실상 평화적, 외교적 해법을 포기했다. 이후 카타르와 사우디아라비아 등 아랍권 친미국가들이 나서 반군 측에 무기를 공급하는 대리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통신장비와 자금을 지원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국제사회의 편법적, 우회적 개입은 사태의 장기화를 부를 뿐이다.
알 아사드 정부가 화학무기 카드를 꺼내든 것은 서방의 직간접적인 지원으로 역량이 강화된 반군 측이 수도 다마스쿠스까지 위협하고 있는 전황과 무관치 않다. 지난주에는 다마스쿠스 시내 1급보안시설인 국가보안청이 자살폭탄테러 공격을 받았다. 서방 언론에서는 알 아사드 정권의 붕괴가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낙관론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번에 처음 존재가 확인된 시리아 화학무기는 사태의 조속한 해결이 결코 쉽지 않다는 사실을 일깨워주었을 뿐이다. 국제사회가 복잡다단한 시리아 안팎의 위험을 일거에 제거할 방법은 없다. 하지만 적어도 완화시키는 노력을 중단해서는 안된다. 안보리를 중심으로 더 큰 불행을 막기 위한 합의 도출에 재차 나서야 할 것이다.
[사설]중국의 한국민 가혹행위 반드시 진상 규명해야 (0) | 2012.07.28 |
---|---|
리설주 공개, '김정은의 북한'이 보내오는 생소한 신호 (0) | 2012.07.26 |
고조되는 미-중의 아시아 갈등, 한국의 선택은? (0) | 2012.07.16 |
황당한 한·일 군사정보협정 소동, 책임자는 누군가 (0) | 2012.07.02 |
이집트 민주화 거꾸로 가는가 (0) | 2012.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