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칼럼/워싱턴리포트

대선후보의 과거, 국민은 몰라도 된다고?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7. 7. 22.

<워싱턴에서> 국민은 몰라도 된다고?

“언론이 정치인들의 사생활까지 캔다면 이미 권위가 실추된 정치인들을 더욱 불신하게 될 것이다.” 프랑스 보수신문 피가로가 1994년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의 숨겨진 딸 사진을 보도한 주간 파리마치를 비판한 내용이다. 프랑스 언론은 특히 남녀관계가 얽힌 공인의 사생활 보도를 금기로 한다. 그러면서 걸핏하면 왕실 구성원들의 사생활을 캐는 영국 언론의 폭로성을 업신여긴다. 어느 쪽이 더 민주주의 친화적일까.

미국 지식인 사회에서 호평을 받고 있는 옥스퍼드대 스타인 린겐 교수의 근간 ‘민주주의란 무엇을 위한 것인가(What Democracy For)’는 영국 언론을 꼽았다. 린겐 교수의 주장은 이렇다. 미테랑에게 첩과 숨겨진 딸이 있었던 사실은 일반인들만 몰랐을 뿐 기자들 사이에선 공공연한 비밀이었다. 그럼에도 파리마치 보도 전에는 어느 언론매체도 다루지 않았다. 저변에는 지독한 엘리트주의가 깔려 있었다는 말이다. “독자들이여, 당신들은 몰라도 된다”는 사고방식의 소산이다.

린겐 교수가 동원한 질적 기준(스탠더드)과 행위(퍼포먼스·보도)의 잣대로 보면 영국 언론은 질이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린겐 교수는 프라이버시 기준에 얽매어 침묵하는 프랑스 언론보다는 영국 언론이 더 언론 본연의 사명에 투철하다고 결론짓는다. 언론이 일정 정도 ‘건강한 무자비함’을 잃지 않는 것을 민주주의의 조건으로 꼽았다. 스탠더드의 결여가 종종 당사자에게 불행을 주지만, 퍼포먼스의 지속적인 실패는 민주주의에 재앙이 된다는 이유에서다.

앵글로 색슨 문화권의 미국 언론은 영국 언론에 가깝다. 특히 선거에서 나선 정치인에겐 더욱 가혹하다. 1988년 민주당 유력주자였던 게리 하트는 여성모델을 무릎에 앉힌 사진이 보도돼 유권자들에게 외면을 받았다. 2008년 대선을 16개월을 앞둔 미국 언론은 벌써부터 유력 후보들에 대한 검증보도가 한창이다. 최근엔 민주당 유력 후보인 버락 오바마 의원이 19년 전 대학시절 주차위반 딱지 17장을 체납한 사실까지 뒤져내는 집요함을 보인다.

미국 언론의 무자비한 후보검증 보도를 일상적으로 접하면서 태평양을 건너오는 고국의 대선 소식은 희한하게 들린다. 유력 후보의 거주지 주소이전 정보 공개를 둘러싸고 ‘사생활 침해’라는 볼멘소리가 오가는가 하면, ‘과거를 묻어두자’는 말까지 들린다. 더욱 기막힌 것은 보수신문들의 보도 행태다. 후보검증의 진실찾기 노력을 기울이기는커녕 다른 신문의 검증작업에까지 ‘유출 배후가 의심스럽다’류의 사설을 써대고 있다. 이건 흥미 위주의 폭로 보도도, 지도자의 시시콜콜한 사생활도 아니다. 국가를 맡겨달라는 대선후보와 친·인척이 강남 땅이 천배, 만배 급등한 부동산 광풍의 시대, 언제 어디에서 살았는지 좀 알아보자는 것일 뿐이다.

후보의 주소이전 정보를 보도하는 것을 두고 언론이 먼저 나서 “의심스럽다”고 보도하는 행태는 세계 언론사에 길이 남을 굵직한 족적이 아닐까 싶다. 그들에게 묻고 싶다. 선택을 앞둔 독자는, 국민은 몰라도 되는지. 아니 알 필요도 없는 것인지. 또 그 정도 사생활 정보공개로 이미지가 실추될 후보라면 대선에 나오지 말았어야 하는 건 아닌지. 김진호 특파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