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퓰리즘 산책

대선, 한국은 세종대왕 간의 대결, 프랑스는 빅토르 위고와 리셜리외의 승부

by gino's 2017. 5. 2.

                                                                    리셜리외 추기경


5월9일 치러지는 한국 대선이 세종대왕과 세종대왕의 대결이라면 5월7일 결선투표를 벌이는 올해 프랑스 대선은 루이13세 때 재상이었던 리셜리외와 빅트로 위고의 대결로 압축됐다. 지지율 1, 2위 대선 후보들이 본받고 싶은 인물로 보았을 때 그렇다는 말이다. 정치인들이 본받고 싶은 인물은 문제의식의 출발점이자, 지향하는 목표이기도 하다.


프랑스 역사전문지 ‘이스토리아(Historia)’ 4월호가 대선 후보들에게 물은 역사적 인물 중에서 누구를 존경하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평소 잔다르크를 동경한다고 밝혀왔던 극우 민족전선(FN)의 마린 르펜 후보는 의외로 루이 13세의 재상이었던 리셜리외를 택했다. 프랑스 전성기의 철로를 깐 사람이기 때문이란다. 르펜은 “리셜리외의 초상화를 사무실에 두고 있다”고 소개했다. 단단한 정치적 의지와 모든 이해관계를 초월하는 국가 비전의 상징으로 리셜리외를 설정한 것이다. 주권주의자이자 애국주의자인 르펜의 정체성이 묻어난다. 하지만 리셜리외의 정책들이 당시 프랑스 민중의 이해와는 반한 것이었다.

빅토르 위고

빅토르 위고

르펜과 결선에서 맞붙을 중도 ‘전진!(앙마르슈)’의 에마뉘엘 마크롱 후보는 빅토르 위고를 꼽았다. 국어 및 국문학 선생이었던 아내 브리지트의 영향일지도 모른다. “프랑스는 위고를 통해 비참함을 바라보고 그 속에서 솟아나는 빛을 이해하게 됐다”는 이유에서다. “위고는 망명을 택함으로써 해방의 언어와 저항정신을 새롭게 발견했다”고도 했다. 마크롱 스스로가 자유롭게 말하기 위해 장관직을 버린 것 처럼 들린다고 주간 르푸앵은 짚었다. 하지만 위고는 시대 흐름에 따라 강력한 통령주의자(보나팍티스트)나 현체제 지지주의자(레지티미스트), 입헌군주제 지지자(오를레아니스트)는 물론 공화주의자로도 해석된다. <레 미제라블>로 유명한 위고는 작품 속에서는 공화주의자로 보이지만 정치적으로는 보수주의와 절대왕정을 거쳐 입헌군주제를 옹호했다. 공약과 정체성이 흐릿한 데 이어 본받고 싶은 역사적 인물 역시 여러가지로 해석되는 위고를 선택한 셈이다.

샤를르 드골

샤를르 드골

1차투표에서 3위를 거두었던 프랑수아 피용은 온갖 역경에 맞서 주권을 강조해온 신드골주의자 필립 세갱 전 국민의회 의장을 꼽았다. 사회당의 브누아 아몽 후보는 미국 민권운동의 상징인 로자 팍스를, 결선투표에서 르펜을 지지한 우파 주권주의자 니콜라 뒤퐁에냥은 샤를르 드골을 각각 꼽았다.


막스밀리앙 로베스피에르

막스밀리앙 로베스피에르

극좌연대 ‘굴복하지 않는 프랑스(프랑스 앵수미즈)’의 장 뤽 멜랑숑은 역사 속의 위인으로 18세기 루이 15세에 저항했던 오트-손 지방의 노예해방운동가를 꼽았다. 멜랑숑은 “원칙을 위해서는 식민지도 없애라”며 식민주의자들의 노예제도 옹호론을 거칠게 반대했던 혁명지도자 막스밀리앙 로베스피에르도 거론했다. “로베스피에르는 그 당시의 경제적 현실주의에 반대할 줄 알았다”는 이유에서다.

세종대왕

세종대왕

앞서 지난 달 25일 JTBC의 대선후보 토론에서 본받고 싶은 인물을 묻는 질문에 더불어 민주당의 문재인후보와 국민의 당 안철수 후보는 모두 세종대왕을 꼽았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박정희를,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다산 정약용을,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삼봉 정도전을 각각 꼽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