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퓰리즘 산책

[김진호의 세계읽기]마크롱의 '스타트업(Start-up) 정부'에 진실의 순간은 9월

by gino's 2017. 6. 20.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총선 결선투표가 치러진 지난 6월18일 샤를르 드골의 항독 레시스탕스 선언 77주년을 맞아 파리 교외 쉬르렌느의 몽 발레리앵에서 열린 기념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쉬르렌느/EPA연합뉴스


■마크롱을 다시 위대하게!(Make Macron great again!)
파리 시간으로 지난 6월2일 자정을 넘긴 시간. 엘리제궁 홍보팀이 숨가쁘게 가동됐다. ‘www.makeourplanetgreatagain’라는 웹사이트를 띄우기 위해서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파리협정 탈퇴 발표에 대응해 지구온난화 대책의 시급성을 강조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39)의 연설 동영상을 유포하기 위한 것이었다. 2일 0시18분. 인터넷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해 대선구호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를 패러디한 마크롱 대통령의 ‘지구를 다시 위대하게(Make our Planet great again)’ 연설이 올랐다. 3분 분량의 이례적인 영어연설이었다. 정확하게 1분 뒤, 마크롱의 트위터에도 동영상을 올렸다. 백악관이 트럼프의 파리협정 탈퇴성명을 공식 발표한 것은 1일 오후 4시3분(미국 동부시간). 파리시간으로는 같은 날 밤 10시3분이었다. 대략 2시간이라는 길지 않은 시간 동안 마크롱의 연설을 동영상으로 제작해 인터넷에 올렸다. 마크롱이 젊고, 잘난 프랑스 대통령에서 일약 세계의 지도자로 거듭난 순간이었다. 트럼프의 탈퇴 선언이 예상됐다고 하더라도 긴가민가하던 상황에서 발휘한 탁월한 순발력이었다.

르몽드 탐사보도기자 스테판 푸카르가 지난 13일자 ‘마크롱의 공현(L’epiphanie)‘ 제하의 칼럼에서 전한 당일 상황이다. 공현(公現)은 신이 모습을 드러내 보여주는 것을 말한다. 마크롱의 연설은 포악한 트럼프에 맞서 지구를 지키는 수퍼맨(그것도 잘생긴)의 강한 인상을 남기면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소셜미디어 상에 수백만번 유통됐다고 한다. 영국 BBC방송은 국제적으로 ‘마크롱의 팬클럽’이 늘어나는 순간이었다면서 ‘반 트럼프 (세계)지도자의 탄생’이라는 칭호를 헌정했다.

마크롱의 트위터에 있는 ‘지구를 다시 위대하게’ 연설의 한 단락. “기후문제와 관한 한, 플랜B는 없다. 플라넷(행성)B가 없기 때문이다”라고 씌여 있다.

마크롱의 트위터에 있는 ‘지구를 다시 위대하게’ 연설의 한 단락. “기후문제와 관한 한, 플랜B는 없다. 플라넷(행성)B가 없기 때문이다”라고 씌여 있다.

■슈뢰더+올랑드+오바마=로널드 레이건?
마크롱을 위대하게 만든 능란한 마케팅에도 불구하고 아직 ‘마크롱주의’라고 할 만한 것은 없다. 어떠한 정책도 현실정치Reapolitik)에서 구현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냉정하게 말하면 지난 5월 7일 대선 당선 이후 마크롱이 한 것은 트럼프와 블라디미르 푸틴 등 우왁스러운 지도자들에게 당당한 모습을 보인 것 뿐이다. 트럼프와의 악수 배틀에서 밀리지 않았을 뿐 아니라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크림반도 병합과 우크라이나 사태 등에 관해 할 말을 하는 모습을 연출했다. 특히 푸틴 대통령과의 공동기자회견 장소를 파리외곽 베르사유 궁전의 고풍스러운 무도장으로 잡은 것은 ‘연출정치’의 정점을 이뤘다. 하지만, 냉소적으로 보면 마크롱은 아직까지 실체가 모호하다.

프랑수아 올랑드 사회당 정부에서 경제장관을 지낸 그가 제시하는 길은 프랑스 판 ‘제3의 길’이다.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가 지난 세기 말에 내놓은 ‘아겐다 2020’을 긍극적으로 지향하면서,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의 미완의 개혁을 완수하려는 것이다.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의 구호였던 ‘희망’을 벤치마킹하고 있기도 하다. ‘슈뢰더+올랑드+오바마의 총합’이 마크롱의 정체라고 해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마크롱의 현란한 연기정치 역시 전혀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다. 어쩌면 프랑스 국민들이 21세기 이후 프랑스 정치에서 열망했던 그 무엇을 충족시키져주는 면이 있기 때문이다. 대선에 이어 총선에서까지 승리를 거머쥔 그의 정치력은 일단 인정해야 한다. 이미지와 연기, 연출에 힘입었을지언정 안팎으로 사기가 떨어진 프랑스 국민들에게 ‘희망의 단서’를 줬다는 점에서 성공했기 때문이다. 슈뢰더와 올랑드, 오바마에 이어 마크롱을 설명할 4번째 인물로 로널드 레이건이 등장하는 까닭이다.

1주일 사이에 확바뀐 자전거 패션.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총선 1차투표 하루전인 6월10일 부인 브리지트와 경호원들과 어울려 고향인 르 투케 시내에서 자전거를 타고 있다.(오른쪽  사진) 왼쪽 사진은  총선 결선투표 하루전인 6월17일 같은 장소에서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르투케/EPA연합뉴스

1주일 사이에 확바뀐 자전거 패션.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총선 1차투표 하루전인 6월10일 부인 브리지트와 경호원들과 어울려 고향인 르 투케 시내에서 자전거를 타고 있다.(오른쪽 사진) 왼쪽 사진은 총선 결선투표 하루전인 6월17일 같은 장소에서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르투케/EPA연합뉴스


■‘삶은 배추’와 같던 정치적 무기력(inertie)과의 작별
프랑스는 이제 마크롱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봐야 할 것 같다. 경제적 병((malaise)과 정치적 무기력(inertie) 중 한가지를 덜어낼 수 있게 된 것이다. 10% 대의 실업률과 경직된 노동시장, 독일에 비해 갈수록 떨어지는 산업경쟁력 등으로 대표되는 ‘프랑스병’은 여전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별무대책으로 일관해온 정치적 무기력은 과거가 됐다. 비록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총선 결선투표 기권·무효표가 57.36%에 달했지만 절반에 가까운 유권자들은 정치에 희망을 갖기 시작했다. 중요한 변화다. 허드슨연구소 연구원이자 월스트리트저널 칼럼니스트인 월터 러셀 미드는 마크롱이 가져온 변화를 로널드 레이건의 변화에 빗댔다. ‘삶은 배추’와 같은 무기력한 리더십을 보였던 올랑드만 바라보던 프랑스 국민들이 젊고 잘난 마크롱에게서 ‘희망’이라는 낯선 느낌을 발견했다는 분석이다. 레이건은 역대 미국 대통령 중에서 가장 대중 친화력이 강했던 ‘소통의 달인(The Great Comunicator)’이었다. 직전 대통령이었던 지미 카터의 미지근한 리더십과 대비되면서 빛을 발했다. 카터의 무색무취 스타일에 신물이 난 미국민들에게 화려한 언변의 강한 지도자의 면모를 보였다. 게다가 미남이었다. 마크롱 역시 올랑드의 낡은 정치에 물린 프랑스 국민에게 ‘영웅의 탄생’을 예고하면서 신선한 자극을 줬다는 인상비평이다. 프랑스 5공화국을 연 샤를 드골과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프랑수아 미테랑을 거치면서 형성됐던 강하고 결단력 있는 대통령의 이미지는 퇴색한 게 사실이다. 경망스러웠던 니콜라 사르코지에 이어 올랑드를 거치면서 프랑스 국민들이 어느 때보다 신선한 리더십에 배가 고팠던 것이 사실이다. 그 허기를 적시에 파고든 것이 마크롱의 성공요인었던 것이다.

2012년 총선(왼쪽)과 2017년 총선 결과 달라진 프랑스의 정치지도. 붉은 색 계열이 중도좌파 사회당과 공산당 등 좌파계열 정당들의 승리 지역이고 파란색은 중도우파 공화주의자들 및 기타 우파 후보의 당선지역이다. 오른쪽의 올해 총선에서는 노란색의 ‘전진하는 프랑스( LRM)과 민주운동(MoDem)’ 후보들의 당선지역이다. 황색 돌풍이 프랑스 국민의회(하원)을 마크롱의 텃밭으로 만들어놓았다.    르몽드

2012년 총선(왼쪽)과 2017년 총선 결과 달라진 프랑스의 정치지도. 붉은 색 계열이 중도좌파 사회당과 공산당 등 좌파계열 정당들의 승리 지역이고 파란색은 중도우파 공화주의자들 및 기타 우파 후보의 당선지역이다. 오른쪽의 올해 총선에서는 노란색의 ‘전진하는 프랑스( LRM)과 민주운동(MoDem)’ 후보들의 당선지역이다. 황색 돌풍이 프랑스 국민의회(하원)를 마크롱의 텃밭으로 만들어놓았다. 르몽드


■총선 압승의 의미, 5년전 집권여당과 19석 차이
6월18일 총선 결선투표 결과는 서구 민주주의 국가에선 지극히 이례적으로 바람이 좌우했다. 마크롱의 ‘전진하는 공화국(La Republique en Marche·LRM)’과 프랑수아 바이루의 민주동맹(MoDem)의 집권연합은 국민의회(하원) 전체 577석 가운데 350석(60.65%)를 얻어 단독 과반수를 얻었다. 중도우파 공화주의자들(LR)은 기타우파를 묶어 137석(22.53%)에 그쳤다. 2012년 총선에서 단독과반수를 얻었던 사회당(PS)는 46석(7.97%)로 쪼그라들어 당장 당 운영자금을 걱정해야할 처지에 놓였다.당선자 577명 중 432명이 신인으로 국민회의 의원의 75%가 바뀌었다. 평균 연령이 48.6세다. 여성의원도 200명을 넘겼다. ‘아웃사이더의 돌풍’이니 ‘선거혁명’이니 하는 팡파레가 울리는 근거다. 중도좌파와 중도우파가 갈마들며 집권하던 양당제의 낡은 틀을 깬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냉정하게 보면, 2012년 선거결과의 데자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당시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의 사회당과 집권연합 역시 577석 중 331석을 얻어 단독과반수를 얻었었다. 거품을 걷어내면, 마크롱 정부와 사회당을 거덜내고 퇴진한 올랑드 정부의 의석차는 고작 19석에 불과하다. 안팎으로 경제회생과 유럽통합 이라는 양대 과제도 마찬가지다. 르몽드 분석에 따르면 마크롱이 대선공약 및 취임 뒤 내놓은 밑그림에는 경제, 노동 정책을 중심으로 올랑드 정부의 국정과제 25개가 담겨 있다. 똑같이 대선 승리에 이은 국민의회 과반수를 갖고 올랑드가 못한 것을 마크롱이 해낼지가 향후 관전포인트다. 자본시장의 이익을 대변하는 파이낸셜타임스는 총선에 승리한 마크롱의 프랑스를 ‘스타트업 국가(Start-up Nation)’라고 명명했다.

마크롱이 올해 1월 출범시킨 ‘전진하는 공화국(LRM)’의 카트린 바르바로 의장이 6월18일 총선 결선투표 종료뒤 파리 당사에서 승리 연설을 하고 있다. 2015년 3월 파리에서 발족한 자유좌파(La Gauche Libre)를 모태로 한다. 파리/EPA연합뉴스

마크롱이 올해 1월 출범시킨 ‘전진하는 공화국(LRM)’의 카트린 바르바로 의장이 6월18일 총선 결선투표 종료뒤 파리 당사에서 승리 연설을 하고 있다. 2015년 3월 파리에서 발족한 자유좌파(La Gauche Libre)를 모태로 한다. 파리/EPA연합뉴스


■’진실의 순간‘은 올여름 바캉스 이후에 온다
이미지와 실체는 다르다. 트럼프의 대선 구호를 제물로 삼아 파리협정의 전도사로 거듭난 마크롱의 환경관은 보여준 이미지와 사뭇 다르다. 르몽드 탐사전문기자 푸카르에 의하면, 마크롱은 트럼프의 파리협정 탈퇴선언 이전까지 환경문제에 무감각했다. 대선 1차, 2차 투표까지 수차례 진행된 대선후보 TV토론에서 단 한번도 기후변화 문제를 언급한적도 없다. 선거공약에서도 환경문제는 후순위였다. 환경의 위기, 생태의 위기를 가장 목청 높여 강조한 대선후보는 ‘굴복하지 않는 프랑스(La France Insoumise)’의 멜랑숑 후보였다. 마크롱은 지난 5월7일 당선 이후에도 다국적 원자력기업 아레바의 로비스트를 지낸 우파 정치인 에두아르 필립을 총리에 임명했다. 프랑스 라니온 만(灣)의 골재채취 및 코트다모르 지역에 대한 호주 광산업체의 광물탐사를 허가했다. 두가지 모두 프랑스 환경운동가들의 지탄을 받은 사안이다. 푸카르는 마크롱이 ‘지구를 다시 위대하게’ 연설에서 밝힌대로 진정 기후변화를 우려한다면 미국을 대신해 프랑스가 파리협정 분담금의 최대 공여국이 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제국의 향수을 되살리게 하는 장면이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왼쪽)이  지난 5월 29일 파리 인근 베르사유궁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동을 한 뒤 문을 나서고 있다.  음영이 짙은 사진이 많은 것도 마크롱 이미지 정치의 특징이다.  프랑스 대통령궁(엘리제궁) 홈페이지

제국의 향수을 되살리게 하는 장면이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왼쪽)이 지난 5월 29일 파리 인근 베르사유궁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동을 한 뒤 문을 나서고 있다. 음영이 짙은 사진이 많은 것도 마크롱 이미지 정치의 특징이다. 프랑스 대통령궁(엘리제궁) 홈페이지

대선 국면에서부터 시작한 마크롱의 이미지 정치, 연출 정치는 18일 총선과 함께 막을 내렸다. 이제부터는 실제와 맞부닥쳐야 한다. 마크롱이 국민의회 다수당의 지위를 활용해 우왁스럽게 노동시장의 유연화를 추진한다면 프랑스 노조들과의 일전이 불가피하다. 당장 대선 당시 마크롱을 지지했던 최대 노조 민주노동총동맹(CFDT)은 성급한 노동개혁에 반대하며 마크롱 정부에 경고장을 던졌다. 공산당 계열의 노동총동맹(CGT)은 당장 19일부터 거리시위에 나선다.

마크롱은 대통령령(Ordonnance)로 노동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9월 국민회의에 그 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마크롱이 다짐한 유럽연합(EU) 개혁은 독일이 지갑을 여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린다. 9월 독일 총선의 승자와 마주앉아야 답이 나온다. 경제와 유럽, 두가지 화두에 대한 마크롱의 정치력이 실제 시험대에 오르는 것은 그때이다. 마크롱이 황금마차를 계속타게 될 지, 호박마차로 갈아타게 될 지를 가르는 ‘진실의 순간’은 올여름 바캉스 이후에 온다. 그때까지는 외신이 전해오은 마크롱의 ‘쇼’를 마음껏 즐겨도 될 것 같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6201114001&code=970205#csidx21b5659247158438432a9a182671b0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