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세계의 창]‘美건국’의 잘못된 씨앗, 제임스타운

세계 읽기/좋은 미국, 나쁜 미국

by gino's 2012. 8. 4. 14:52

본문

[세계의 창]미국 건국의 '나쁜 씨앗' 제임스타운
미국의 원형질은 플리머스인가, 제임스타운인가. 지난 14일로 영국인 첫 정착촌 제임스타운 400주년을 맞은 미국사회는 역사적 정체성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다. 엘리자베스2세 여왕과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이 잇달아 방문하고 각종 행사가 축제분위기에서 치러지는 한 켠에서 일종의 ‘건국신화’에 대한 진실찾기가 활발해지고 있는 셈이다.

지금까지는 1620년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건너온 청교도들이 미국 역사를 열었다는 해석이 주류를 이뤄왔다. 매사추세츠만의 플리머스에 마을을 건설한 청교도들의 첫 정착촌이야말로 구대륙의 종교탄압과 신분차별을 없애고 자유와 번영의 신세계를 연 미국사의 출발점이라는 게 공식적인 해석이었다. 하지만 정착 400주년을 맞은 제임스타운에서 영국인들이 겪은 성공과 실패, 좌절과 희망이 이후 미국사의 맹아(萌芽)가 됐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플리머스가 건국의 상징으로 남게 된 것은 그에 앞서 1607년 버지니아주 체사피크만의 제임스타운에 닻을 내렸던 첫 정착민들의 실험이 실패로 돌아갔기 때문이기도 하다. 바닷가 늪지대에 104명의 영국인들이 정착한 이후 1624년 제임스 1세가 제임스타운을 건설한 '주식회사 버지니아'를 해산하기까지 17년 동안 이곳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났던 것인가.

제임스타운의 짧은 역사는 영광과 수난의 연속이었다. 제임스타운 개발은 당시까지 스페인이 주도권을 잡고 있던 북미대륙에 식민지 건설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실험이었다. 물론 신교도 거점을 만들어보려는 종교적 의도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실상은 그리 고상하지 않았다. 정착민들이 대서양을 건넌 주된 동기는 돈이었다. 식민지를 건설, 옥수와 포도주, 원목 등을 본국에 팔자는 계획이었다. 제임스타운 프로젝트는 처음부터 지극히 기업마인드에서 출발했다. ‘리스크가 많으면 보상도 크다’는 투자원칙은 회사 주주들은 물론 정착민들에게도 가장 중요한 가치였다.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지난 4일 미국 버지니아주의 제임스타운 정착촌을 방문해 모형 병기고를 둘러보고 있다(왼쪽). 영국이 미국에 최초로 건설한 식민지인 버지니아 제임스타운의 건설 400주년 기념일인 지난달 24일, 영국인들이 건너올 당시 탔던 배 세 척의 모사품이 햄프턴 로드 항구에 모습을 드러냈다.



하지만 현실은 냉혹했다. 6개월 간의 항해 끝에 낯선 땅에 도착한 영국인들은 알곤킨족 인디언과 스페인 군함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모기떼가 극성을 부리는 바닷가 늪지대에 마을을 이뤄야 했다. 식량은 순전히 인디언들의 호의에 달려 있었다. 물물교환을 통해 식량을 얻기도 했지만 때로는 빼앗기도 했다. 인디언들이 작심을 하고 식량을 끊었을 때 정착민들을 가축은 물론 인육까지 먹어야 했다. 굶주림과 티푸스, 이질 탓에 1610년까지 20여명만이 살아 남았다. 150명의 인력이 추가 파견되고 세모꼴의 요새를 건축하면서 조금씩 적응해 나갔다. 이후 여자들도 건너옴에 따라 가정을 이룰 수 있었다.

제임스타운이 기사회생한 것은 당시 27세의 존 스미스를 지도자로 뽑으면서부터였다. 그는 많은 정착민들이 두려워했던 인디언 부족연합의 포하탄 추장을 때로 협박하고, 때로 타협하면서 살 길을 모색했다. “일하지 않는 자는 먹지도 마라”는 기업가정신으로 리더십을 발휘, ‘주식회사 USA’의 기틀을 닦았다. 1619년 미국 땅에 처음으로 의회가 만들어졌다. 종교자유와 사적 비지니스가 합법적으로 인정됐다. 정착민들에게 일확천금의 기회를 열어준 것은 담배 재배였다. 서인도제도산 담배씨를 재배, 영국에 파는 무역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담배농사는 노예의 환금성을 확인시켜준 계기이기도 했다.

같은 해 8월 포르투갈 노예선에서 강탈한 흑인노예 20명이 처음 도착한 이후 미국 사상 처음으로 노예농사가 본격화됐다. 런던에서 버지니아 회사의 주식은 현재 가격으로 한주당 2500~2850달러에 거래됐다. 하지만 국왕의 명령으로 회사 간판을 내리게 됨에 따라 블루칩은 하루 아침에 휴지가 되고 말았다.

문제는 결국 인디언이었다. 힘을 키운 영국인들은 이미 이때 인디언들을 멸종시키겠다고 다짐했지만 당시까지만 해도 그리 만만한 문제가 아니었다. 평화가 깨지고 1622년 인디언들의 대대적인 공격이 시작되자, 주민들은 결국 제임스타운을 떠날 수 밖에 없었다. 시행착오로 점철된 짧은 역사가 막을 내리게 된 것이다.

하지만 투자마인드와 개척정신, 인종차별 시각 등 제임스타운의 영욕의 에피소드는 지금까지 미국의 특징을 이루고 있다. 인디언과 흑인, 백인의 조화롭지 않은 관계가 이후 미국사의 켜켜이 스며들게 된 것도 그곳에서 시작됐다.

워싱턴포스트는 ‘미국 만들기(Inventing America)’ 제목의 특집에서 “우리는 플리머스로부터 미국의 이상을 추적하고 있지만, 기실 강력하고 유복하며 거칠고 괴상한 미국의 씨앗을 처음 볼 수 있는 곳은 제임스타운”이라고 지적했다. 시사주간 타임 역시 같은 제목의 특집에서 “제임스타운은 사실 하나의 거대한 도박이었다”고 규정했다. 타임은 “제임스타운이 미국을 만들었다기 보다 정착민들이 맞닥뜨려야 했던 생존과 민주주의에 대한 열정, 인디언과 노예 착취 등이 오늘날 미국을 만든 투쟁과 성취의 수많은 버팀목이 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미국판 역사 바로 알기를 제안했다. 제임스타운 400주년의 의미는 미국사의 맥락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이다. 그곳에서 겪었던 성공과 실패를 통해 미국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미국인이 누구인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제임스 1세의 후손인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은 이달 초 현지를 방문해 버지니아공대 희생자들에게 애도를 표했다. 하지만 인디언과 흑인에 대한 영국인들의 죄상에 대한 유감은 표명하지 않았다.

〈워싱턴|김진호특파원〉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