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칼럼/워싱턴리포트

오바마 방한에서 빠진 것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9. 11. 22.

워싱턴리포트 김진호 특파원

음악은 냉전도 녹였다. 1959년 어느 날 폴란드 바르샤바 공항. 막 비행기에서 내린 한 미국인 재즈 디스크 자키는 카메라와 꽃다발을 들고 있는 수백명의 인파와 마주쳤다. 아마 유명인사가 자기와 같은 비행기를 타고왔을 거라고 짐작했던 그는 바로 자신을 환영하는 플래카드를 보고 깜짝 놀랐다. ‘미국의 소리(VOA)’ 방송 홈페이지가 전하는 윌리스 코노버의 폴란드 방문일 풍경이다.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기 전까지 가장 극적인 장면은 지난 87년 6월12일 로널드 레이건이 브란덴부르크 문 앞에 서서 “미스터 고르바초프, 이 장벽을 허무시오”라고 외쳤던 순간이 아닌가 싶다. 하지만 억압된 사회분위기에 눌려 지내던 많은 사람들의 가슴에 해방의 황홀한 선율을 지속적으로 전한 것은 무명의 재즈 애호가였다.

코노버가 VOA 방송의 마이크를 잡게 된 것은 그로부터 4년 전의 일이다. 그가 한 일이라곤 재즈를 들려주고, 열정적으로 해석한 것뿐이다. 미 의회에서는 선전방송에서 쓸 데 없는 음악 이야기나 하면서 세금을 낭비한다는 불만이 새나왔다고 한다.

하지만 특유의 느린 바리톤 음성으로 “미국의 소리, 재즈 시간의 윌리스 코노버입니다”라는 멘트로 시작했던 그의 프로그램을 듣는 사람은 옛소련 및 동구에서 눈덩이처럼 불어 3000만명에 달했다고 한다.

코노버는 40년 동안 같은 프로를 진행하면서 단 한 차례도 이념과 정치를 입에 담은 적이 없다. 하지만 뉴욕타임스는 그가 지난 96년 타계하자 그의 음악방송이 B29 편대보다 효율적이었다고 평했다. 구미 각국이 수십년간 풍겼던 매력이 없었다면 동구권 주민들이 국경을 넘는 일도 없었을 것이다.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북한에 전한다는 많은 대북 단파, 인터넷 방송과 전단·북한화폐를 살포하는 풍선이 간과하고 있는 점이 바로 이것이다. 많은 경우 딱딱하거나 살풍경하다. 김정일 정권이 아무리 나쁘다고 외쳐도 북한 주민들에게 꿈을 심어줄 수는 없다.

물론 베를린 장벽을 허무는 데는 매력만으로는 충분치 않았다. 할리우드에서는 3류배우였지만 정치적 말솜씨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했던 레이건은 옛 소련을 ‘악의 제국’이라고 지목했다.

하지만 그가 자극적이고 멋진 연설만 한 건 아니었다. 수차례의 미·소 정상회담을 통해 결국 핵무기감축 문제에 중요한 진전을 이뤄냈다. 소프트 파워가 풍기는 매력이 됐건, 터프하고 직접적인 외교가 됐건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노력의 일관성이다.

공산주의에 대해 태생적인 혐오감을 갖고 있었다는 레이건조차 “소련이 공산주의를 포기한다면 큰 선물을 주겠다”는 식의 ‘그랜드 바겐’을 꿈꾸지는 않았다. 한편으로 소련을 비난하면서도, 농부가 밭을 갈듯 외교적 노력에 발품을 팔았다. 지금 미국에도 한국에도 없는 게 바로 매력과 적극적인 외교의 두 가지가 아닌가 싶다. 지난 주 방한했던 버락 오바마는 판문점을 가지 않음으로써 한반도 냉전사에 길이 남을 명연설의 기회를 놓쳤다. 다음달 8일 시작되는 북·미대화를 계기로 일관적인 포용의 기회는 놓치지 않길 바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