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호의 세계읽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김진호의 세계읽기

메뉴 리스트

  • 방명록
  • 세계읽기
  • 한반도, 오늘
  • 분류 전체보기 N
    • 시민언론 민들레(Dentdelion) N
      • 2024년 한반도 위기
      • 우크라이나 전쟁
      • 정전 70년
      • 방송영상+액자기사
      • 2024 미국 대선
    • 나눔의 국제정치학
    • 내고향, 서울...
    • 한반도, 오늘
    • 세계 읽기
      • 인사이드 월드
      • 글로발, 발로글
      • 좋은 미국, 나쁜 미국
    • 포퓰리즘 산책
    • 칼럼
      • 한반도 칼럼
      • 경향의 눈
      • 여적
      • 아침을 열며
      • 워싱턴리포트
      • 정동탑
      • 기자메모
      • 破邪顯正
    • 떨어진 반쪽
      • 방북기
      • 고향을 떠난 사람들
    • Interviewees
    • 몇가지 주제들
      • 연설문
    • 책으로 읽는 세계, 한반도
    • 자료
      • 한반도 자료
      • 일반자료

검색 레이어

김진호의 세계읽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자료/한반도 자료

  •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전문 및 주요내용(외교부자료)

    2013.05.28 by gino's

  • 한미동맹 60주년 기념 공동선언 전문

    2013.05.08 by gino's

  • Remarks by President Obama and President Park of South Korea in a Joint Press Conference

    2013.05.08 by gino's

  • 한미 상호방위조약+조미 수호통상조약

    2013.05.06 by gino's

  • 한미 원자력협정문(영-한 전문)

    2013.04.24 by gino's

  • 한(윤병세)-미(케리) 외교 공동회견

    2013.04.14 by gino's

  • 6.15 남북공동선언문

    2013.04.12 by gino's

  • 정전협정문(전문)

    2013.03.06 by gino's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전문 및 주요내용(외교부자료)

SOFA(한미주둔군지위협정) 전문 한미행정협정 대한민국과 아메리카 합중국의 상호방위조약 제4조에 의한 시설과 구역 및 대한민국에서의 합중국 군대의 지위에 관한 협정 Agreement under Article 4 of the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garding Facilities and Areas and the Status of United States Armed Forces in the Republic of Korea 1966.7.9 서명, 1967.2.9. 발효. (2001년 4월 2차개정) 아메리카 합중국은 1950년 6월 25일, 1950년 6월 27일 및 1950..

자료/한반도 자료 2013. 5. 28. 15:00

한미동맹 60주년 기념 공동선언 전문

Joint Declaration in Commemoration of the 60th Anniversary of the Alliance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White House Office of the Press Secretary For Immediate Release May 07, 2013 For six decades, the U.S.-ROK Alliance has served as an anchor for stability, security,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Asia-Pacific region, and increasingly around..

자료/한반도 자료 2013. 5. 8. 11:51

Remarks by President Obama and President Park of South Korea in a Joint Press Conference

Remarks by President Obama and President Park of South Korea in a Joint Press Conference White House Press Office Wed, May 8, 2013 at 5:16 AM Reply-To: noreply@messages.whitehouse.gov To: gino777@gmail.com THE WHITE HOUSE Office of the Press Secretar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For Immediate Release May 7, 2013 REMARKS BY PRESIDENT OBAMA AND PRESIDENT PARK ..

자료/한반도 자료 2013. 5. 8. 11:44

한미 상호방위조약+조미 수호통상조약

「한미상호방위조약」은 1953년 당시 「헌법」(1952.7.7 공포 헌법 제2호) 제52조에 따라 체결되고 제42조에 따라 국회에서 비준되었으며, 제7조에 따라 발효되었다.배경 미국은 우리나라 외교에 있어서 가장 긴밀하고 실질적인 우호·협력관계를 맺어온 나라이다. 미국은 우리나라가 일본 제국주의 식민통치로부터 벗어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정부수립을 후원한 가장 중요한 우방일 뿐만 아니라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했을 때 병력을 투입함으로써 우리나라 방위에 앞장섰었다. 1953년 7월 정전이 성립되자 북한의 재침을 막기 위한 대책으로 한·미간에 동맹의 체결을 촉구하였다. 이보다 앞서 6월에 로버트슨 미국 대통령특사가 방한했을 때 양국간의 절충이 시작되었고, 두달 후 이승만대통령과 덜레스 미..

자료/한반도 자료 2013. 5. 6. 16:13

한미 원자력협정문(영-한 전문)

한-미원자력협정(전문) 원자력의 민간이용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와 미합중국 정부간의 협력을 위한 협정 1972 년 11 월 24일 워싱톤에서 서명 1973 년 3 월 19일 발효 1974 년 5 월 15일 워싱톤에서 개정서명 1974 년 6 월 16일 발효 대한민국 정부와 미합중국 정부는 , 1056 년 2 월 3일 “ 원자력의 비군사적 사용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와 미합중국 정부 간의 협력을 위한 협정 ” 에 서명하였고 , 동 협정은 1958 년 3 월 14일 및 1965 년 7월 30 일 각각 서명된 협정들에 의하여 개정되었으며 , 또한 대한민국 정부와 미합중국 정부는 동력용 원자로 및 연구용 원자로의 설계, 건설 및 가동과 원자력의 기타 평화적 이용의 개발에 관한 정보의 교환을 포함 하여 원자력의 평화..

자료/한반도 자료 2013. 4. 24. 15:14

한(윤병세)-미(케리) 외교 공동회견

Remarks With Republic of Korea Foreign Minister Yun Byung-se After Their Meeting Remarks John Kerry Secretary of State Foreign Ministry Seoul, South Korea April 12, 2013 http://bcove.me/t7900k12 MODERATOR: (Via interpreter) Good evening, ladies and gentlemen. We will now begin the joint press conference of the Foreign Minister of the Republic of Korea Yun Byung-se and the U.S. Secretary of State..

자료/한반도 자료 2013. 4. 14. 11:22

6.15 남북공동선언문

6.15 남북공동선언(전문)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염원하는 온 겨레의 숭고한 뜻에 따라 대한민국 김대중 대통령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2000년 6월 13일부터 6월 15일까지 평양에서 역사적인 상봉을 하였으며 정상회담을 가졌다. 남북정상들은 분단 역사상 처음으로 열린 이번 상봉과 회담이 서로 이해를 증진시키고 남북관계를 발전시키며 평화통일을 실현하는데 중대한 의의를 가진다고 평가하고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1. 남과 북은 나라의 통일문제를 그 주인인 우리 민족끼리 서로 힘을 합쳐 자주적으로 해결해 나가기로 하였다. 2. 남과 북은 나라의 통일을 위한 남측의 연합제 안과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안이 서로 공통성이 있다고 인정하고 앞으로 이 방향에서 통일을 지향시켜 나가기로 하였다...

자료/한반도 자료 2013. 4. 12. 17:01

정전협정문(전문)

국제연합군 총사령관을 일방으로 하고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및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을 다른 일방으로 하는 한국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 정전협정 전문 서 언 국제연합군 총사령관을 一方으로 하고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및 중국인민 지원군 사령관을 다른 一方으로 하는 下記의 서명자들은 쌍방에 막대한 고통과 유혈을 초래한 한국충돌을 정지시키기 위하여서 최후적인 평화적 해결이 달성될 때까지 한국에서의 적대행위와 일체 무장행동의 완전한 정지를 보장하는 정전을 확립할 목적으로 下記조항에 기재된 정전조건과 규정을 접수하며 또 그 제약과 통제를 받는데 각자 공동 상호 동의한다. 이 조건과 규정들의 의도는 순전히 군사적 성질에 속하는 것이며, 이는 오직 한국에서의 交戰 雙方에만 적용한다. 제1조 1.한개의 군사분계선을 확정하고..

자료/한반도 자료 2013. 3. 6. 14:54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17 18 19 20 21 22
다음
TISTORY
김진호의 세계읽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