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 읽기

'테헤란 테러' 사흘 만에 종결한 이란이 돋보이는 이유

by gino's 2017. 6. 14.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9일 국회의사당과 이맘 호메이니 영묘에서 동시에 벌어진 테러 탓에 숨진 희생자 17명의 합동 장례식이 벌어지고 있다. 이란 정부는 “(테러가) 이란의 전진을 막지는 못한다”면서 의연한 모습을 보였다. 테헤란/AP연합뉴스


■사우디·이집트의 ‘냄비 외교’ vs 이란의 ‘가마솥 외교’ 


2016년 정초. 유가폭락의 와중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월19일부터 사우디 아라비아·이집트·이란 순방에 나섰다. 첫 방문국인 사우디는 19일 시 주석의 전용기를 호위하기 위해 F15전투기 4대를 띄웠다. 다음 날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은 한술 더떴다. 이집트 영공에 들어온 시 주석의 전용기 옆에 8대의 전투기를 띄웠다. 다음 방문국은 나흘 뒤 이란. 이란은 과연 몇대의 전투기를 띄웠을까. 한대도 띄우지 않았다. 

공항에 대통령(이집트)이나 실세 왕세자(사우디)가 직접 나가 영접을 했던 것과 달리 요란한 의전도 없었다. 국빈방문의 경우 외교부장관을 공항에 내보내는 것이 국제적인 관례다. 2015년 7월 서방과 역사적인 핵합의를 이룬 이란이야말로 가장 절실하게 중국의 투자자본이 필요했지만 가장 덤덤하게 시 주석을 맞은 것이다. 지난해 에피소드를 새삼 다시 꺼낸 것은 최근 사건에서 이란의 저력이 새삼 돋보여서다. 한국 사회는 유독 서방 주요국가의 작은 움직임에 쉽게 감동 또는 실망하지만 정작 다른 중견국의 의미 있는 행보에는 관심을 덜 두는 경향이 있다. 


지난 7일 이슬람국가(IS) 테러범들이 자살폭탄과 소총으로 공격한 이란 수도 테헤란 한복판의 국회의사당 건물에서 혁명수비대 대원들이 한 어린이를 대피시키고 있다.   테헤란/AP연합뉴스

지난 7일 이슬람국가(IS) 테러범들이 자살폭탄과 소총으로 공격한 이란 수도 테헤란 한복판의 국회의사당 건물에서 혁명수비대 대원들이 한 어린이를 대피시키고 있다. 테헤란/AP연합뉴스


■‘상처받은 거인’의 조용한 행보 

‘상처 받은 거인’의 다음 행보는 늘 주목을 받는다. 지난 6월7일 이란 수도 테헤란을 강타한 두 건의 테러는 단순한 공격이 아니었다. ‘이슬람공화국’ 이란의 대표적인 국가상징을 타격한 일대 사건이었다. 테러범들은 우선 이날 오전 10시15분쯤 ‘이슬람 국가 이란’의 영원한 큰어른인 이맘 아야톨라 호메이니의 영묘에서 연쇄 총격과 폭탄테러를 벌였다. 범인 1명이 사살되고 1명은 자폭했다. 나머지 범인들도 곧 제압됐다. 비슷한 시간 또다른 테러범들이 ‘공화국 이란’의 상징인 테헤란 도심의 국회의사당을 침입해 3시간 넘게 총격전을 벌였다. 테러범 5명은 모두 사살됐다. 테헤란을 뒤흔든 유혈극이었다. 두 건의 테러로 이란 주민 17명이 숨지고, 40여명이 다쳤다. 

규모와 파장은 달랐지만 국가의 양대 상징이 공격을 받았다는 점에서 2001년 9·11테러를 연상시켰다. 알카에다 테러범들은 당시 미국 자본주의의 상징인 뉴욕 월가의 세계무역센터 빌딩과 미국 군사패권의 상징인 펜타곤을 겨냥했다. 

이란은 중동지역에서 크게 두개의 적과 대적하고 있다. 주변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주변의 수니파 아랍국가들과 물과 기름이다. 여기에 미국이 뒷배를 보아주는 이스라엘과 대적하고 있다. 때문에 2008년 이후 알카에다를 비롯한 수니파의 ‘종교테러’와 이스라엘의 원전 공습 및 스턱스넥 사이버공격, 모사드의 소행을 추정되는 이란 핵과학자 연쇄 암살 등의 ‘국가테러’에 노출돼 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도 시아파 이슬람공화국의 양대 상징에 대한 공격은 없었다. 


지난 7일 IS 테러리스트들이 공격한 테헤란 남부의 이맘 호메이니 영묘. 평소에도 많은 방문객들이 찾는 곳이다. AP연합뉴스

지난 7일 IS 테러리스트들이 공격한 테헤란 남부의 이맘 호메이니 영묘. 평소에도 많은 방문객들이 찾는 곳이다. AP연합뉴스


■국가상징에 대한 테러? “폭죽놀이일 뿐” 

수니파 테러집단 이슬람국가(IS)는 테헤란 테러 직후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떠벌였다. IS는 테러범 중 3~4명을 이란인(쿠르드) 테러리스트를 활용함으로써 효과의 극대화를 노렸다. 대치가 벌어지던 의사당 내부 모습을 동영상으로 내보내기도 했다. 하지만 이란 정부의 반응은 놀라울 정도로 차분했다.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는 ‘이슬람 공화국’ 이란의 국가상징을 공격한 유례 없는 테러를 “폭죽놀이”라고 넘겼다. “이란 국민들의 의지를 꺾기에는 너무 약하다”라면서 “테러리스트는 알라의 뜻으로 뿌리뽑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지난달 대선에서 거뜬하게 재선에 성공한 하산 로하니 대통령 역시 “테러는 공통의 문제”라면서 극단주의 테러에 맞서기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을 촉구했다.

빈말이 아니었다. 사건 발생 사흘 만인 지난 10일 밤(현지시간) 이란 정부는 테헤란 테러에 대한 응징공격 완료(Mission completed)를 선언했다. 마무드 알라비 이란 정보장관이 TV에 나와 이웃국가에서 테러의 주범을 “지옥으로 보냈다”고 밝혔다. 이란 첩보요원들이 이웃국가 정보당국의 협조를 받아 주범을 해당국가에서 제거했다고 했다. 이웃나라가 어떤 나라인지, 테러주범이 누구인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 쥐도새도 모르게 적을 제거해온 이스라엘 첩보기관 모사드의 암살수법을 연상시켰다. 이란 당국은 수년 전부터 이란 쿠르드 지역에 침투한 IS 극단주의자들의 소행으로 잠정 결론 짓고 있다. 

규모와 파장은 비교가 되지 않지만, 16년 전 미국의 국가상징이 공격을 받은 9·11테러의 후유증은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 아직도 종료되지 않았다. 특히 ‘9·11테러 배후→대량살상무기(WMD)→독재자 타도’ 등 부시 행정부가 급조한 전쟁명분 탓에 독일을 비롯한 많은 동맹국들 마저 외면했던 이라크 침공은 수십만명의 민간인 피해를 남긴 채 평화는 여전히 요원하다.

이란 최고 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가 지난 7일 수도 테헤란에서 대학생들과의 대화행사에 참석해 국회의사당과 이맘 호메이니 영묘에서 발생한 테러에 대해 말하고 있다.   테헤란/EPA연합뉴스

이란 최고 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가 지난 7일 수도 테헤란에서 대학생들과의 대화행사에 참석해 국회의사당과 이맘 호메이니 영묘에서 발생한 테러에 대해 말하고 있다. 테헤란/EPA연합뉴스


■이중, 삼중의 적에 둘러싸인 ‘지역강국(Regional Power)’의 길

이란은 슈퍼파워(Super Power)가 아니다. 사우디 및 이집트와 함께 중동지역 3대 강국으로 꼽히지만, 지역강국(Regional Power)의 하나일 뿐이다. 하지만 외교적으론 슈퍼파워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것 같다. 최근 사우디 아라비아를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을 맹비난하자 이란 정부는 “가치 없는 쇼”라고 일축했다. 중동지역을 통틀어 이란의 적수라고 할만한 국가는 이스라엘 정도다. 이란 핵합의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트럼프 행정부의 등장으로 이란은 어수선한 세월을 보내고 있다. 하지만 테헤란 테러 처리에서 드러났듯이 국가지도자들의 말 한마디, 행동 하나가 천금처럼 무겁되 목표달성에는 단호했다. 난세를 헤쳐나갈 저력을 확인케 하는 대목이다. 로마제국의 황제들이 그랬듯이 1979년 이슬람혁명 당시의 지미 카터부터 트럼프에 이르기까지 어떤 미국 대통령도 이란을 만만하게 대하지 못했다. 이란은 미국 등 서방과 핵합의를 했지만 한편으로 중국, 러시아와 ‘전략적 동맹관계’를 맺어 외연을 넓히고 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P5)+1(독일)과 수년 동안 벌였던 핵협상의 내용을 들여다본 각국 외교관들은 이란 외교의 내공에 혀를 내둘렀다. 북한 핵문제 해결에 관여해온 한국의 한 퇴역 고위 외교관은 “이란은 걸핏하면 억지를 부리는 북한과는 비교할 수 없는 외교강국”이라고 감탄한 바 있다. 북한 핵문제를 맞닥뜨리고 있는 동아시아 한 분단국가에 시사하는 바도 적지 않다. 명분과 논리를 놓치지 않으면서도 끈질진 협상으로 국가의 이해를 극대화한 사례이기 때문이다.


사우디를 비롯한 걸프협력협의회(GCC)국가들은 지난 5일 이란과 우호적이라는 이유로 카타르와 단교를 선언하고 자국내 카타르 인들에게 14일 내 추방조치를 내렸다. 하지만 사우디·아랍에미리트(UAE)·바레인은 11일 추방조치에 예외를 두겠다고 선언했다. 미국 국무부가 우려를 표명하자 손바닥 뒤집듯이 수정한 것이다. 그사이 이란은 젊잖게 카타르에 식량과 과일, 채소 등을 긴급 공수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인구(8천만명)·영토(세계 17위)·자원·경제(‘중위소득국’ 세계은행)·군사력(상비군 99만명)의 지역강국의 저력이 새삼 돋보인다.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6130931001&code=970209#csidx8d226557315518ca599f10ace26644f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