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칼럼/기자메모26

<기자메모> 미국만 가면 꼬리내리는 의원님들 [경향신문]|2007-02-09|02면 |45판 |종합 |컬럼,논단 |967자 7일부터 워싱턴을 방문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의원외교를 벌이고 있는 국회 통외통위 의원단의 움직임에는 '국가'만 있고 '국민'은 없는 것 같다. 의원들은 방미 활동계획을 밝히면서 "FTA가 타결되면 한.미 동맹의 결합력이 질적으로 제고되는 계기를 맞을 것"이라면서 대담한 접근을 강조했다. 그래서일까. 쇠고기와 쌀, 약가산정 등 국민의 관심이 집중된 핵심 쟁점에 대해서도 통큰 자세를 보였다. "구체적인 현안보다 마음의 자세와 협상 태도에 대해 말하겠다"는 전언이었다. 쇠고기와 관련해서는 "미 일각에서 오해가 있는 것 같지만 합리적인 해결책이 나올 것"이라고 낙관했다. 좁게는 지역구, 넓게는 미국민의 이익을 위해 팔을 걷.. 2012. 2. 25.
<기자메모> 반기문의 한계, 한국사회의 한계 [경향신문]|2007-01-05|02면 |45판 |종합 |컬럼,논단 |780자 새내기 지도자에게 취임 몇개월간 껄끄러운 비판을 자제하는 각국 언론이 첫 출근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게 아픈 지적을 했다. 후세인의 사형에 대해 "사형제는 각 유엔 회원국들이 결정해야 할 문제"라고 말한 것이 화근이었다. 공식적으로 사형제에 반대해온 유엔의 정책기조에서 벗어난 '실언'이었다. 민감한 현안에 대한 질문을 잘 넘겨온 반총장이 유엔 출입기자들의 덫에 걸린 이유는 그의 모난 처세 때문이 아니다. 단순히 사무총장 인수팀의 준비가 미숙했다고만 돌리기도 곤란하다. '기름 장어'라는 별명까지 갖고 있는 그다. 오히려 지금까지 그를 키워온 '토양' 탓일 가능성이 높다. 사형제에 관한 한 상식적인 문명국과 야만국의 위치는 뒤바.. 2012. 2. 25.
<기자메모> 또 분리대응 '교과서 외교' 실패 [경향신문]|2005-04-06|04면 |45판 |종합 |컬럼,논단 |840자 의표를 찔렸다! 5일 공개된 일본 문부과학성의 교과서 검정결과 발표를 지켜보면서 느끼는 심정이다. 일본측은 역사교과서 왜곡 수준을 고스란히 유지하는 한편 공민교과서에서 '독도=일본땅'이라는 억지를 일반화했다. 그런데도 일본의 교과서 왜곡문제를 '책임관리'해온 외교통상부의 설명을 들어보면 의아해진다. 외교부는 역사교과서는 종래처럼 시정을 요구하되 공민교과서의 독도기술은 영유권 차원에서 분리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공민교과서의 왜곡문제는 현시점에서 들춰내지 않겠다는 말에 다름 아니다. 정부의 논리가 일견 틀린 건 아니다. 독도관련 왜곡 내용은 그 자체가 일본 정부의 공식입장이기 때문에 일본 정부의 입장부터 교정하는 것이 수순이다. 실.. 2012. 2. 25.
<기자메모> '오버'하다 머쓱해진 鄭통일 [경향신문]|2004-12-04|02면 |45판 |종합 |컬럼,논단 |831자 "남북 공존공영을 위해 정말 중요한 2005년에 남북정상회담이 열리길 기대한다."(2일 오후, 정동영 통일부장관)"6자회담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남북정상회담의 가능성을 낮게 본다. 가능성이 매우 낮은 일에 정력을 기울여 노력하지 않는 것이 현명한 사람이 할 일."(2일 자정 무렵, 노무현 대통령 런던 기자회견)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정장관의 '기대성 발언'이 노대통령에 의해 불과 몇 시간 만에 무색케 됐다. 말귀대로만 해석하면 정장관은 '매우 가능성이 낮은 일에 정력을 기울이겠다'고 공표한 셈이다. 물론 노대통령과 정장관의 발언이 전혀 새로운 말은 아니다. 당국자들도 "두 개의 발언이 상충되는 것이 아니라 큰 틀에서 한 목소.. 2012. 2. 25.
<기자메모> 상봉파행 '가슴졸인 16시간' [경향신문]|2004-04-05|02면 |45판 |종합 |컬럼,논단 |826자 "혹시 아까 북녘의 혈육을 만나면서 내가 뭘 실수한 것은 아닐까." 지난 2일 남측 행사 관계자의 경솔한 언동으로 9차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파행을 빚는 동안 가장 마음을 졸인 것은 정작 최대 피해자인 이산가족들이었다. 몇몇 가족은 이날 북측 김정숙 휴양소에서의 공동오찬이 끝날 무렵 북측 가족이 일어나 큰소리로 노래를 부를 때 동조하지 않은 것이 문제가 된 것은 아닐까 걱정부터 앞세웠다. 이들의 자책은 다음날 아침 남측 행사 관계자의 실언으로 사태가 빚어졌다는 당국의 설명을 들을 때까지 계속됐다.문제의 발단은 단순했다. 남측 행사 관계자가 북측 관계자에게 허투루 농을 건넨 게 화근이 됐다. 금강산 바리봉 치마바위에 새겨진 '천출.. 2012. 2. 25.
<기자메모> 대북혼선 '무소신 무정책' [경향신문]|2003-07-14|06면 |45판 |오피니언·인물 |컬럼,논단 |870자 북한의 폐연료봉 재처리와 관련한 뉴스가 국내외에서 잇따르고 있다. 미 중앙정보국(CIA)이 북의 재처리를 기정사실로 판단, 정책기조를 바꾸고 있다는 보도에 이어 미국은 이미 이러한 사실을 한.일 양국에 통보했다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종종 "확인된 것은 아니다"라는 단서를 달고 날뛰는 설(說)의 난무로 한반도 평화의 불투명지수는 높아진다.우리 당국은 한술 더 뜨고 있다. 북의 재처리 여부를 놓고 지난주 국정원장이 "일부 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하고 하루뒤 국방장관은 "안했다"고 뒤집었다. 일반 국민들은 머릿속이 혼란스러울 뿐이다. 이에 따라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신중한 것도 좋지만, 오락가락하는 인상을 주어서는 곤란.. 2012. 2. 25.
<기자메모> 北경수로 '끌려만 가는 정부' [경향신문]|2003-06-26|06면 |45판 |오피니언·인물 |컬럼,논단 |828자 퀴즈 하나. "역사상 최대 규모의 '대북 퍼주기 사업'이면서 전혀 논란이 일지 않았던 것은? 또 우리 국민부담이 가장 많으면서도 결정과정에서 아무런 발언권도 없었던 것은?"이 질문의 답은 바로 북한 함경남도 금호지구에서 진행중인 경수로 건설사업이다. 1997년 착공 당시 추정 공사비 46억달러 가운데 한국이 70% 이상을 분담하기로 했지만 이를 둘러싼 퍼주기 논란은 물론 정부의 외교적 무능에 대한 질타는 심각하지 않았다. 그 경수로 공사가 기로에 섰다. 최근 한.미.일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 회의에서 사실상 공사중단을 요구하는 미국의 입장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장선섭 경수로기획단장은 25일 "북한 경수로 건설사.. 2012. 2. 25.